게임학회장 "P2E 게임 국내 허용? 해외 성공 먼저 보여줘야"
"'한국만 P2E 게임 규제한다' 주장? 사실 아니다"
위정현 중앙대 교수 "P2E보다 IP 개발 노력 필요"
(서울=연합뉴스) 김주환 기자 = "게임의 혁신은 매력적인 신규 지적재산(IP) 개발에 있지, P2E(Play to Earn·돈 버는 게임)에 있지 않습니다."
한국게임학회장인 위정현 중앙대 경영학부 교수는 '블록체인 기술에 기반한 P2E 게임 영업을 국내에서도 허용해야 한다'는 국내 게임 업계의 요구에 강한 우려를 밝혔다. '게임의 본질'을 흐릴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위 교수는 전날 본인 연구실에서 연합뉴스 기자와 만나 인터뷰에 응하면서 지난달 30일 베트남 게임개발사협회 창립기념식에 초청을 받아 참석했을 당시 목격한 에피소드를 소개했다.
위 교수는 "한 (베트남) 게임사 대표가 세금 문제를 이야기하며 자국 내 P2E 게임 영업을 허락해 달라고 (베트남) 정부에 요구했다"며 "그런데 기념식에 참석한 베트남 정보통신부 차관은 '우선 해외에서 P2E 게임이 문제없이 작동하는 것을 보여 달라'며 (자국 게임사 대표의 요구를) 거절했다"고 전했다.
베트남은 자국민이 해외에 서버를 둔 P2E 게임에 접속하는 것을 차단하지는 않지만, 국내 판호 발급은 허가하지 않고 있다는 것이 위 교수의 지적이다.
위 교수는 "많은 게임사가 '한국 정부만 P2E를 규제하고 있다'고 주장하는데, '엑시인피니티' 같은 게임이 나온 베트남도 정작 자국에서는 합법이 아닌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최근 국내 게임 업체들은 정부에 P2E 게임 규제를 풀어 달라고 요청하고 있다.
강신철 한국게임산업협회장은 이달 1일 박보균 문화체육관광부 장관과 주요 게임사 대표 등이 모인 자리에서 "P&E(P2E) 게임에 대해서는 서비스를 전면 허용해 주시기를 요청드린다. 가이드라인과 법적 근거를 마련해달라"고 요청했다.
박 장관은 이에 "신기술과 사행성이라는 양면성이 있어 종합적 접근이 필요하다"는 원론적 답변을 내놨다.
게임업체들이 간담회에서 박 장관에게 한 요구에 대해 위 교수는 "마치 기업들이 정부 규제로 혁신을 못 하는 것처럼 이야기했는데, 그렇지 않다"고 평가했다.
위 교수는 박 장관의 반응에 대해 "장관이 오히려 확률형 아이템에 목을 매는 게임 업계의 보수성을 지적했어야 한다"고 안타까움을 표현했다.
위 교수는 게임 업계의 적극적인 혁신 노력이 필요하다고도 강조했다.
위 교수는 "현재처럼 기존에 개발된 게임에 P2E를 붙여 수익을 창출하는 방식은 결코 혁신이 아니다"라며 "확률형 아이템 판매가 국회의 입법 시도로 가로막히게 되자, 자체 발행한 게임 코인과 연동된 P2E 게임으로 수익을 내려는 것"이라고 꼬집었다.
이어 "'원신'이 보여 주듯 한국 게임을 무섭게 따라잡은 중국 게임을 자본력으로는 이길 수 없는 상황"이라며 "결국 공격적인 IP 개발과 기술력, 기획 면에서의 혁신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다만 위 교수는 "해외 시장을 통해 (블록체인 기반 PE2 게임을) 테스트해보는 것은 나쁘지 않다고 본다"며 블록체인 게임의 가능성 자체를 완전히 부정하지는 않았다.
그러면서 "확률형 아이템 없이 게임사가 유저와 수익을 나누는 방식으로 성공을 입증하고, 게임 내 경제의 안정성을 확보할 장치가 마련돼야 할 것"이라고 조건을 달았다.
juju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