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적 상승세 한풀 꺾인 삼성전자…하반기 불확실성 더 커져
2분기 스마트폰·TV 동반 부진…반도체는 견조한 실적
경기침체 우려에 반도체도 하반기 수요 둔화 '먹구름'
(서울=연합뉴스) 김기훈 기자 = 코로나19에도 분기마다 고공행진을 이어온 삼성전자[005930]의 실적 상승세가 올해 2분기에 한풀 꺾였다.
다만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으로 인한 공급망 차질과 원자잿값 상승,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에 따른 경기침체와 수요 위축 등 악조건 속에서도 견조한 실적을 낸 것으로 평가된다.
문제는 3분기부터다. 스마트폰·가전 등 세트(완성품) 판매 부진에도 반도체가 2분기 실적의 버팀목 역할을 했지만, 하반기에는 반도체도 경기 둔화의 영향권에 들 것이라는 전망이 우세하다.
◇ 삼성전자 영업이익 14조원…'악조건 속 선방'
삼성전자가 7일 발표한 2분기 연결기준 잠정실적에 따르면 매출은 77조원, 영업이익은 14조원으로 집계됐다.
삼성전자 매출은 지난해 3분기(74조원)와 4분기(76조6천억원)에 이어 올해 1분기(77조8천억원)까지 3개 분기 연속 역대 최고치를 갈아치웠으나 2분기 들어 성장세가 꺾였다.
또 이번 영업이익은 연합인포맥스가 집계한 시장 전망치(컨센서스) 14조5천98억원을 3.5% 밑돌았다.
2분기 실적이 다소 주춤했던 것은 수요 위축에 따른 출하량 감소와 원자재 가격 상승에 따른 이익률 하락 때문으로 분석된다.
부문별 사업실적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무엇보다 스마트폰·가전 등 세트(완성품)의 판매 부진이 성장세의 발목을 잡은 것으로 보인다.
증권가에서는 삼성전자의 올해 2분기 부문별 영업이익을 반도체 부문(DS) 약 9조8천억원, 디스플레이 부문 1조원대로 추정한다.
또 스마트폰(MX)·네트워크사업 부문 2조6천억원, 영상디스플레이(VD)·가전 부문 약 5천700억원, 하만 부문 약 1천억원으로 보고 있다.
특히 MX와 VD·가전 부문의 경우 스마트폰과 TV 출하량이 기존 예상치에 미치지 못했다는 게 증권가의 공통된 지적이다.
물가상승과 고금리로 가계의 실질 소득이 줄면서 IT 수요가 빠르게 위축된 데 따른 것이다.
증권가에서는 MX·네트워크 사업부, VD·가전 사업부의 영업이익이 1분기 대비 각각 30%가량 감소한 것으로 예상했다.
◇ 반도체가 실적 버팀목…하반기 전망은 '빨간불'
삼성전자의 '주력'인 반도체 수요는 아직 견조해 2분기 실적을 떠받친 것으로 분석된다.
증권가는 반도체 사업부의 영업이익이 1분기보다 16%가량 증가한 것으로 보고 있다.
당초 메모리 반도체 D램 시장이 지난해 4분기 이후 침체를 보이며 실적 성장세에 제동이 걸릴 것이라는 예측이 많았으나, 시장 수요가 예상 밖으로 견조했다.
메모리반도체 출하량 증가와 낸드 가격 상승에 힘입어 2분기 반도체 실적이 개선됐다는 분석이다.
다만 하반기부터는 반도체 역시 경기둔화의 영향권에 들 것으로 보인다.
글로벌 거시 경제의 환경 변화로 수요 불확실성이 커지면서 반도체 가격 전망도 내림세로 방향이 바뀌고 있다.
대만 시장조사업체 트렌드포스는 최근 3분기 D램 가격이 2분기보다 10%가량 떨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당초 트렌드포스는 3분기 D램 가격이 2분기보다 3∼8%가량으로 하락할 것으로 내다봤는데 이 전망치를 더 낮춘 것이다.
메모리반도체 낸드플래시의 가격도 최근 하락세를 보이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D램익스체인지에 따르면 메모리카드·USB향 낸드플래시 범용제품(128Gb 16Gx8 MLC)의 6월 고정거래가격은 4.67달러로 5월(4.81달러)보다 3.01% 내렸다.
◇ 하반기 불확실성 지속…연간 실적 전망 하향 조정
삼성전자의 연간 실적에 대한 증권가의 눈높이도 낮아지고 있다.
신한금융투자는 올해 삼성전자의 매출액 전망치를 318조5천60억원에서 313조7천330억원으로 1.5% 하향 조정했다.
또 삼성전자의 올해 영업이익 전망치를 60조1천330억원에서 58조4860억원으로 2.7% 낮췄다.
도현우 NH투자증권 연구원은 "러시아-우크라이나 전쟁, 중국의 주요 도시 봉쇄 등의 영향으로 구매자들의 소비 여력이 줄어들고 있다"며 "주요 스마트폰 제조사들은 최근 판매 부진으로 평소보다 늘어난 재고를 줄이기 위해 부품 구매를 줄이고 있는 상황"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최근의 경기 둔화 움직임은 서버 투자에도 영향을 주고 있다"며 "구글과 메타 등 하이퍼 스케일러가 수익 증가세 둔화로 인해 하반기에 데이터센터에 대한 투자를 일부 줄이기 시작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남대종 이베스트투자증권 연구원은 "메모리 반도체의 수요 부진과 가격 하락, 세트 부문의 출하량 감소와 원가 부담이 지속될 것"이라며 "연간 영업이익은 56조6천억원으로 시장 컨센서스 영업이익 62조2천억원을 하회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kih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