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연합뉴스) 김동규 기자 = 국토교통부는 민간부문의 시설물 안전진단 역량을 제고하기 위해 업계, 학계, 연구기관 등이 참여하는 '안전진단 전문가 협의체'를 구성하고 29일 오후 서울역 회의실에서 첫 회의를 연다고 28일 밝혔다.
정부는 시설물안전법 등에 따라 시설물의 상태를 '안전진단'을 통해 주기적으로 점검하고 결과에 따라 시설물의 보수·보강, 해체 여부를 판단하고 있다.
안전진단은 시설물 관리주체가 각 지방자치단체에 등록된 안전진단 전문기관에 용역을 의뢰해 대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지난해 기준으로 전국에 1천349개의 안전진단 전문기관이 등록돼 활동하고 있다.
![](http://img.yna.co.kr/photo/yna/YH/2021/10/07/PYH2021100715260001300_P2.jpg)
국토부는 시설물이 빠르게 노후화되고 4차 산업혁명과 정보기술(IT) 발전 등으로 시설물 안전관리 분야에도 새로운 변화가 요구됨에 따라 시설물 안전관리 수준을 한 차원 끌어올리기 위해 전문가 협의체를 구성했다고 설명했다.
협의체에는 국토부·한국도로공사·철도공단·국토안전관리원 등 정부 및 공공기관, 구조물진단공학회·건설산업연구원·건설기술연구원 등 학계 및 연구기관, 시설안전협회·건설기술인협회·신기술협회 등 업계가 참여한다.
국토부는 협의체를 통해 시설물 안전진단 산업 전반의 주요 실태와 현황을 공유하고 분야별 전문가 의견을 수렴해 민간의 안전진단 역량을 높이기 위한 제도 개선과 기술개발 지원 등 핵심추진 과제를 마련할 계획이다.
김영국 국토부 기술안전정책관은 "민·관·학·연이 함께 소통하면서 시설물 안전진단 서비스의 신뢰도를 높여 국민들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나가겠다"고 말했다.
dkkim@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