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93.82

  • 15.48
  • 0.59%
코스닥

753.22

  • 11.84
  • 1.55%
1/4

"금융시스템 최대 위험은 물가 상승 압력"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금융시스템 최대 위험은 물가 상승 압력"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 가계부채 순…한은 설문조사 결과
'1년내 단기 충격 발생 가능성 크다' 전망 반년 새 12.5→25.6%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기자 = 국내외 금융기관 종사자들은 현재 금융시스템의 최대 위험 요소로 물가 상승 압력을 꼽았다.
한국은행이 30일 공개한 '시스템 리스크(위험) 서베이(설문조사)' 결과에 따르면 금융기관 종사자 80명 가운데 34%가 금융시스템 1순위 리스크 요인으로 '원자재 가격 상승 및 글로벌 공급망 차질 등에 따른 물가상승 압력'을 지목했다.
이번 조사는 국내 금융기관 임직원, 주식·채권·외환 운용·리서치 담당자, 금융·경제 관련 협회·연구소 직원, 대학교수, 해외 금융기관 한국투자 담당자 등을 대상으로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13일까지 진행됐다.


2, 3순위 위험 요소로는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15%), 높은 가계 부채 수준(11%)이 꼽혔다.
위험 순위를 고려하지 않고 단순히 응답(5가지 요인 복수 응답) 빈도수만 따져도 물가상승 압력(80%)이 가장 많았고, 이어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55%), 높은 가계 부채 수준(44%) 순이었다.
각 위험 요인을 단기(1년 내 현재화 가능성) 또는 중기(1∼3년) 요인으로 나눠달라는 요청에 조사 대상자들은 물가상승 압력,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지정학적 리스크, 시장금리 급등,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 등을 단기 요인으로 분류했다.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은 중기 요인으로 거론됐다.
금융시스템 위기를 초래할 충격이 단기(1년 이내)에 발생할 가능성을 묻자 26.9%가 "높다"(매우 높음 1.3%+높음 25.6%)고 답했다. 2021년 12월 조사 당시(12.5%)와 비교해 응답률이 뚜렷하게 높아졌다.
"보통"은 41.0%였고, "낮다"는 32.1%(매우 낮다 2.6%+낮다 29.5%)로 6개월 전(38.8%)보다 떨어졌다.
1∼3년 내 충격이 나타날 가능성의 경우 "높다"는 전망이 32.9%, "낮다"는 전망이 25.3%를 차지했다.
조사 대상의 53.2%는 현재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에 대해 "신뢰도가 높다"(매우 높다 1.3%+높다 51.9%)고 답했다.
shk999@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