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636.52

  • 1.08
  • 0.04%
코스닥

839.98

  • 7.99
  • 0.96%
1/2

2월 취업자 103.7만명↑, 같은 달 기준 22년 만에 최대 증가(종합)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2월 취업자 103.7만명↑, 같은 달 기준 22년 만에 최대 증가(종합)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2월 취업자 103.7만명↑, 같은 달 기준 22년 만에 최대 증가(종합)
두달째 100만명대 증가…2월 기준 고용률 역대 최고, 실업률 역대 최저
기저효과 작용, 도소매업·일용직은 감소…"고용 회복세 지속"


(세종=연합뉴스) 차지연 곽민서 김다혜 기자 = 오미크론 변이 대유행으로 코로나19 확산세가 이어지는 가운데에도 2월 취업자 수가 두달째 100만명대 증가세를 이어갔다.
16일 통계청이 발표한 '2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취업자 수는 2천740만2천명으로 1년 전보다 103만7천명 늘었다.
1월(113만5천명)보다 증가 폭은 다소 줄었으나 두 달 연속 100만명대 증가세를 이어갔다. 취업자 증가는 12개월째 계속되고 있다.
2월 기준으로 보면 2000년(136만2천명) 이후 22년 만에 최대 증가 폭을 기록했다.
여기에는 비교 대상인 작년 2월 취업자 수(-47만3천명)가 대폭 감소했던 영향도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작년 감소 폭이 컸던 만큼 올해 증가 폭이 크게 나타나는 기저효과가 발생한 것이다.
다만 작년 3월부터는 취업자 수가 증가세로 돌아섰던 만큼, 코로나 충격에 따른 기저효과를 걷어낸 고용 실적은 올해 3월부터 나타날 가능성이 크다.
지난달 취업자는 전월 대비(계절조정)로도 41만7천명 늘었다.
2월 취업자는 1년 전과 비교해 60세 이상(45만1천명), 50대(27만2천명), 20대(21만9천명), 40대(3만7천명), 30대(1만5천명) 등 모든 연령대에서 늘었다.
코로나19 타격이 컸던 숙박음식점업(5만5천명)을 비롯해 보건업·사회복지서비스업(25만4천명), 운수·창고업(13만5천명), 정보통신업(12만8천명) 등에서 취업자가 증가했다.
다만 도소매업(-4만7천명), 협회 및 단체·수리 및 기타 개인서비스업(-3만2천명), 금융보험업(-4천명)에서는 취업자가 감소했다.
상용근로자(76만7천명), 임시근로자(34만2천명),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7만5천명),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3만9천명)가 일제히 늘었으나 일용근로자(-14만9천명)는 감소했다. 무급가족종사자(-3만8천명)도 줄었다.
36시간 이상 취업자는 97만3천명 늘었고 36시간 미만 취업자도 16만명 증가했다. 주당 평균 취업 시간은 38.7시간으로 1년 전과 같았다.

15세 이상 고용률은 60.6%로 작년 같은 달보다 2.0%포인트 올랐다. 2월 기준으로는 통계 작성이 시작된 1982년 7월 이후 역대 최고치다.
실업자 수는 95만4천명으로 1년 전보다 39만9천명 감소했다. 실업률은 3.4%로 1.5%포인트 떨어지며 집계 기준을 변경한 1999년 6월 이후 2월 기준 역대 최저치를 나타냈다.
비경제활동인구는 1천685만7천명으로 41만2천명 줄어 12개월 연속으로 감소했다.
비경제활동인구를 활동상태별로 보면 '재학·수강 등'에서 22만6천명이 줄었고 '가사'에서도 13만2천명이 감소했다. '쉬었음' 인구는 10만3천명 줄었다. 다만 '연로'는 24만1천명 늘었다.
취업준비자는 80만5천명으로 4만8천명 감소했다. 구직단념자는 51만3천명으로 23만9천명 줄었다.
공미숙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2월 고용은 산업의 비대면·디지털 전환과 수출 호조, 작년 기저효과 등으로 취업자는 증가하고 실업자와 비경제활동인구는 감소해 고용 회복세가 지속되는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charge@yna.co.kr, mskwa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