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04.67

  • 1.61
  • 0.06%
코스닥

694.39

  • 2.39
  • 0.35%
1/3

외식업 배달앱 매출 비중 3.7%→15.3% '껑충'…웃지 못하는 자영업자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외식업 배달앱 매출 비중 3.7%→15.3% '껑충'…웃지 못하는 자영업자
농식품부·aT, 외식업 경기분석 보고서 발표…코로나19 2년새 급성장
외식업주, 매출 늘어도 수수료·광고비 부담에 '울상'
'온라인 플랫폼 공정화법' 제정 촉구…"최소한 룰이라도 만들어야"



(서울=연합뉴스) 박상돈 기자 = 외식업 전체 매출에서 배달앱 매출이 차지하는 비중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2년 동안 4배 이상으로 급증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는 코로나19로 비대면 소비문화가 확산한 데 따른 것으로, 외식업주들은 온라인플랫폼으로 매출이 늘어도 판매 수수료와 배달료 등의 부담이 과중하다며 달가워하지만은 않는 상황이다.
21일 농림축산식품부·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의 '빅데이터 활용 외식업 경기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외식업 매출은 101조5천억원으로 전년보다 6.3%가량 늘었다.
그러나 이는 코로나19 사태 발생 전인 2019년보다는 6.6% 적은 것이다.
수치는 신한카드 가맹점·소비자 데이터 등을 활용해 도출한 것이다.

[표] 연도별 외식업 매출 추이 (단위: 억원, %)
┌──────┬────────────┬───────────┬─────┐
│연도│오프라인│배달앱│ 합계 │
│├──────┬─────┼─────┬─────┼─────┤
││매출│ 비중 │ 매출 │ 비중 │ 매출 │
├──────┼──────┼─────┼─────┼─────┼─────┤
│2019│ 1,046,688 │ 96.3 │ 40,105 │ 3.7│1,086,793 │
├──────┼──────┼─────┼─────┼─────┼─────┤
│2020│ 878,301 │ 92.0 │ 76,121 │ 8.0│ 954,422 │
├──────┼──────┼─────┼─────┼─────┼─────┤
│2021│ 859,282 │ 84.7 │ 155,657 │ 15.3 │1,014,939 │
└──────┴──────┴─────┴─────┴─────┴─────┘

지난해 외식업 매출 중 배달앱 매출은 15조6천억원으로 전체의 15.3%를 차지했고 오프라인 매출은 85조9천억원으로 84.7%였다.
배달앱 매출 비중은 2019년 3.7%에서 2020년 8.0%로 상승한 데 이어 지난해에는 더 올랐다. 코로나19 사태 2년새 배달앱 매출 비중은 4.1배가 됐다.
배달앱 매출액 자체도 2019년 4조원에서 2020년 7조6천억원으로 커진 데 이어 지난해에는 15조원을 돌파했다.
이는 코로나19 사태로 음식도 비대면 소비 성향이 확산됐기 때문이다.
또 배달의민족과 요기요, 쿠팡이츠 등 배달앱들도 고객을 잡기 위해 단건 배달 등의 서비스를 선보이며 치열한 경쟁을 벌였다.



그러나 외식업주들은 배달앱을 통한 매출 신장에도 웃지 못하고 있다.
배달앱 이용이 늘어난 만큼 배달앱에 지불해야 하는 판매 수수료와 광고비 부담이 작지 않기 때문이다.
중소벤처기업부가 지난해 8~10월 배달앱 이용 사업자 3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 조사 결과 배달비가 부담스럽다는 응답이 69.3%에 달했다. 적정하다는 답변은 9.0%에 그쳤고 보통이다는 응답은 21.7%였다.
외식업주들이 부담하는 주문 1건당 배달비는 평균 3천394원이었다.



소상공인과 중소기업들은 입점업체 규모별로 수수료율 상한제를 도입하고 계약서 필수기재사항에 수수료 부과 기준 및 절차 등에 대한 내용을 포함시킬 것을 요구하고 있다.
또 배달앱 등 온라인 플랫폼의 '갑질'을 방지하고 입점업체와의 공정거래를 유도하기 위해 '온라인 플랫폼 공정화법'을 조속히 제정할 것을 국회에 촉구하고 있다.
국회에서는 온라인 플랫폼 공정화법 논의가 1년 넘게 진행 중이지만 여전히 결론을 내지 못하고 있다.
네이버, 카카오, 쿠팡 등 플랫폼 대기업이 반발하고 있는 데다 공정거래위원회와 방송통신위원회 간에는 규제 권한 조율 등으로 줄다리기가 벌어지고 있다.
추문갑 중소기업중앙회 경제정책본부장은 "온라인 거래 비중이 높아지면서 불공정 거래도 늘고 있는 상황"이라며 "이런 시장의 변화에 맞춰 최소한의 규제라도 신속히 만들어야 하는데 너무 늦어지고 있다"고 말했다.
kak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