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54.48

  • 1.43
  • 0.06%
코스닥

675.84

  • 2.35
  • 0.35%
1/3

작년 4대 금융그룹 이자이익만 32.2조원, 15%↑…금리상승 덕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작년 4대 금융그룹 이자이익만 32.2조원, 15%↑…금리상승 덕
대출·수신금리 차이 1년새 0.14%p↑…금융그룹 NIM도 많게는 0.16%p 확대
올해부터 본격적으로 대출 부실 '수면 위'로…충당금 더 쌓고 모니터링 강화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이지헌 김유아 기자 = 지난해 4대 시중은행의 이자이익이 금리 상승에 따른 예대마진(예금·대출 금리 차이에 따른 마진) 확대 등에 힘입어 평균 15% 가까이 늘어 32조원을 넘어섰다.
하지만 올해의 경우 소상공인·중소기업 금융 지원 종료 등과 함께 코로나19 관련 부실이 본격적으로 수면 위로 드러날 가능성이 커진 만큼, 은행들은 늘어난 이익 여력으로 충당금을 늘리는 등 대비를 서두르고 있다.


◇ 코로나 속에서도 이자이익 1년새 4조1천억원 이상 늘어
14일 금융권에 따르면 KB·신한·하나·우리금융그룹이 지난해 거둔 이자이익은 모두 32조2천643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28조905억원)보다 14.86% 늘어난 역대 최대 규모다.
KB금융그룹의 이자이익(11조2천296억원)이 15.50%나 불어 유례없이 10조원을 넘어섰고, 하나금융그룹의 이자이익(7조4천372억원)도 15.49%나 증가했다.
우리금융그룹(6조9천857억원), 신한금융그룹(6조6천118억원)의 이자이익 증가율도 각 16.46%, 11.50%에 이르렀다.
이처럼 이자이익이 크게 불어난 것은 지난해 본격적으로 금리 상승기에 접어든 가운데, 규제 등이 더해진 대출금리가 예금금리보다 더 빨리 오르면서 예대마진이 커졌기 때문이다.
실제로 한국은행의 은행권 가중평균 금리 통계에 따르면 예금은행의 잔액 기준 총 대출금리와 총 수신금리의 차이는 작년 12월 2.19%포인트(p)로 1년 전 2020년말(2.05%포인트)보다 0.14%포인트 더 벌어졌다.
이에 따라 각 금융그룹의 순이자마진(NIM)도 1년 새 ▲ KB 0.10%포인트(2020년 4분기 1.75%→2021년 4분기 1.85%) ▲ 신한 0.07%포인트(1.76%→1.83%) ▲ 하나 0.16%포인트(1.55%→1.71%) ▲ 우리 0.14%포인트(1.53%→1.67%) 등 대체로 0.1%포인트 안팎 늘었다.

[표] 4대 금융그룹 이자이익 추이
┌─────┬───────────┬───────────┬───────┐
│ │ 2020년 이자이익(억원)│ 2021년 이자이익(억원)│ 증가율(%)│
├─────┼───────────┼───────────┼───────┤
│KB│97,223│ 112,296│ 15.50│
├─────┼───────────┼───────────┼───────┤
│신한 │59,298│66,118│ 11.50│
├─────┼───────────┼───────────┼───────┤
│하나 │64,399│74,372│ 15.49│
├─────┼───────────┼───────────┼───────┤
│우리 │59,985│69,857│ 16.46│
├─────┼───────────┼───────────┼───────┤
│합계 │ 280,905│ 322,643│ 14.86│
├─────┼───────────┼───────────┼───────┤
│예금은행 │2.05%p│2.19%p│ +0.14%p│
│총 대출-수│ (2020년 12월)│ (2021년 12월)│ │
│신 금리차 │ │ │ │
└─────┴───────────┴───────────┴───────┘
※ KB·신한·하나·우리금융지주 자료, 한은 통계 취합.

◇ 코로나 충당금 많게는 6천억원이상 적립…"대출 연장 종료돼도 감당 가능"
이처럼 금융그룹들은 최근 2년간 코로나19와 함께 급증한 대출 덕에 역대 최대 이자이익과 순이익을 거뒀지만, 올해부터 그 부작용으로서 대출 부실도 서서히 드러날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주 4대 금융지주가 2021년도 실적을 발표한 뒤 진행한 컨퍼런스콜에서도 코로나19 금융지원 종료 후 부실 예상 규모는 얼마인지, 감당 가능한 수준인지, 부실 위험에 대비해 어떤 준비를 하고 있는지 등의 질문이 쏟아졌다.
일단 금융지주들은 대출 부실 위험이 심각한 수준이 아니라고 입을 모아 시장과 투자자들을 안심시켰다.
임필규 KB금융그룹 리스크관리총괄 부사장(CRO)은 소상공인·중소기업 대출 부실화 가능성에 대해 "현재 소호(개인사업자) 대출 연체율이 낮고 담보 비중도 크기 때문에 리스크가 크다고 생각하지 않는다"며 "다중채무자의 경우 작년 하반기부터 개인대출 등을 합쳐 관리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KB금융지주에 따르면 현재 원금·이자 상환이 유예된 대출의 규모는 약 8천600억원이고, 이 가운데 선제적으로 정상 상환 중인 여신 규모는 3천700억원 정도다.
신한금융그룹의 경우 분할상환 유예 대출 가운데 2천102억원, 이자가 유예된 대출 1천425억원 등 3천527억원을 고위험 여신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이태경 신한금융그룹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지난해 원금상환 유예 차주(대출자)에 대한 충당금을 830억원 더해 기존 충당금까지 모두 1천400억원 이상 쌓아 놓았다"며 "상환유예가 종료되더라도 이미 적립한 충당금으로 차주 부실화에 충분히 대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답했다.
하나금융그룹도 급격한 자산 건전성 악화 가능성은 크지 않은 것으로 보고 있다.
하나금융지주 관계자는 "원금·이자 상환이 유예된 금액은 약 8천600억원 정도로, 85% 이상이 담보로 커버되고 있어 신용에 노출된(의존하는) 금액은 1천300억원 정도"라며 "충분히 관리 가능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하지만 각 금융그룹은 충당금을 더 쌓고 대출 부실 모니터링을 강화하는 등 긴장을 늦추지 않고 있다.
KB금융그룹은 미래경기전망·코로나19 관련 충당금을 2020년 3천770억원 쌓았고, 지난해에도 2천640억원을 추가로 적립했다.
신한금융그룹도 2020년과 지난해 같은 성격의 충당금을 3천944억원, 1천879억원씩 쌓았고, 하나금융그룹 역시 두 해에 걸쳐 3천377억원과 1천367억원을 떼어놨다. 우리금융그룹의 2020년 4분기 이후 작년 4분기까지 누적 코로나19 관련 충당금 규모는 3천10억원 정도다.
KB금융지주 관계자는 "건전성 부분을 면밀히 들여다보고 있는데, 가계 대출자 중에서도 금리 인상에 따라서 연체 가능성이 있는 대출자를 집중적으로 분석하고 있다"며 "특히 다중채무자와 신용등급 5등급 이하, 고DSR(총부채원리금상환비율) 대출자를 선별해 충당금을 쌓았다"고 전했다.
shk999@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