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16.86

  • 2.00
  • 0.08%
코스닥

685.42

  • 3.86
  • 0.57%
1/2

'견실' 중국 14위 부동산업체도 디폴트…"헝다 충격 전이 조짐"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견실' 중국 14위 부동산업체도 디폴트…"헝다 충격 전이 조짐"
신탁 대출 1천200억원 못 갚아…스마오 "부당한 조기상환 요구" 반발


(상하이=연합뉴스) 차대운 특파원 = 매출 규모로 중국 부동산 업계 14위 기업인 스마오(世茂·shimao)가 신탁회사에서 빌린 1천억원대 대출금을 갚지 못해 실질적 디폴트(채무불이행) 상태에 빠졌다.
스마오가 시장에서 비교적 건실한 업체로 인식돼온 점에서 중국 당국의 의도와 달리 헝다(恒大·에버그란데) 사태 충격이 금융시장으로 전이될 조짐이 나타나는 것이 아니냐는 우려가 일각에서 나온다.
7일 중국 경제 매체 차이신(財新)에 따르면 신탁회사인 중청(中誠)신탁은 최근 투자자들에게 보낸 안내문에서 스마오가 실질적 디폴트 상태에 빠져 대출 전액 상환을 요구했지만 지난 6일까지 6억4천500만위안(1천213억원)을 아직 돌려받지 못했다고 밝혔다.
중청신탁은 스마오가 약정에 따라 작년 12월 25일까지 9억1천만위안(1천713억원)의 대출을 상환해야 했지만 3억200만위안(602억원)을 갚지 못해 실질적 디폴트가 발생함에 따라 다른 잔여 대출 조기 상환을 요구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상황을 지켜보면서 가압류 신청, 소송 제기 등 필요한 법적 절차를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스마오 측은 6일 밤 공고를 내고 중청신탁의 신탁 대출 대상이 된 부동산 개발 프로젝트가 정상적으로 진행되고 있는데도 중청신탁이 자사 내부 문제로 인해 부당하게 조기 상환을 요구하고 있다면서 남은 빚을 계속 나눠 갚아나가는 가운데 소송을 제기하겠다고 주장했다.
이 소식에 스마오 채권 가격은 20% 이상 폭락했다.
스마오는 아파트, 호텔, 오피스, 상업시설 등을 짓는 메이저 업체다.
중국 본토 사업 법인인 상하이 스마오의 자산과 부채는 작년 3분기 말 현재 각각 1천531억위안(28조8천200억원), 992억위안(18조6천700억원)이다.
블룸버그 통신은 "오랫동안 견실한 업체로 여겨진 스마오는 정크본드 등급의 경쟁사인 헝다나 자자오예(佳兆業·카이사)의 디폴트에도 큰 타격을 받지 않는 것처럼 보였다"며 "스마오 채권 가격 추락은 중국 국내총생산(GDP)의 거의 4분의 1을 차지하는 부동산 산업과 관련된 금융 시장으로 전이될 것이라는 공포를 촉발할 것으로 보인다"고 보도했다.
스마오의 자금 압력은 당분간 계속될 전망이다.
올해 1∼2월에만 스마오가 상환해야 할 채권이 공개된 것만 11건에 걸쳐 총 56억위안(1조540억원)에 달한다고 차이신은 전했다.
중국 당국이 2020년 말부터 부동산 업체들의 자금 차입을 강력히 제약하고 주민들의 주택 구매를 억제하는 고강도 부동산 규제 정책을 펼치면서 중국 부동산 업체들은 심각한 유동성 위기에 빠졌다.
이 충격에 결국 헝다, 자자오예, 화양녠(花樣年·Fantasia), 신리(新力·Sinic), 당다이즈예(當代置業·MOMA) 등 대형 부동산 업체들이 줄줄이 디폴트 상태에 빠졌다.
실물 경제를 떠받치는 중요한 축인 부동산 산업의 심각한 위축이 급속한 경기 둔화를 가속화하고 있다는 위기의식 속에서 중국 당국은 헝다 디폴트 사태 이후 다시 일부 부동산 기업의 대출 규제와 주민들의 주택담보대출 규제를 완화하고 있다.
ch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