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97.82

  • 13.76
  • 0.49%
코스닥

840.44

  • 1.79
  • 0.21%
1/3

코로나 한파에 소상공인 87만명 사라졌다…영업이익 반토막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코로나 한파에 소상공인 87만명 사라졌다…영업이익 반토막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코로나 한파에 소상공인 87만명 사라졌다…영업이익 반토막
총부채 48조원 급증…업체당 1억7천만원씩 빚더미
10명 중 8명은 사업장 임차…평균 월세 100만원 안팎
예술·스포츠·여가업, 교육서비스업 피해 가장 심각



(세종=연합뉴스) 박용주 기자 = 코로나19가 엄습한 지난해 소상공인 87만명이 사라졌다.
영업이익도 거의 반 토막 수준으로 줄었다.
예술·스포츠·여가업과 교육 서비스 등 업종이 가장 심각한 손해를 입었다.
중소벤처기업부와 통계청은 이런 내용 등을 담은 2020년 소상공인 실태조사 결과를 28일 발표했다.


◇ 소상공인 종사자 87만명↓…예술·스포츠 20%↓
지난해 소상공인 사업체 수는 290만2천개로 전년 대비 4.7% 증가했으나 종사자 수는 557만3천명으로 87만1천명(13.5%)이나 줄었다.
중기부와 통계청이 해당 통계를 보유한 2018년 이후 종사자 수는 가장 작고 종사자 수 감소 폭은 가장 컸다.
예술·스포츠·여가업 종사자 수는 3만9천명이 줄었다. 감소율이 무려 20.5%다. 일자리 5개 중 1개가 사라졌다는 의미다.
도소매업의 종사자 수 감소율은 16.7%, 숙박·음식점업은 16.2%에 달한다.
절대적인 종사자 수 감소 폭으로 보면 도소매업이 31만3천명으로 가장 많고 숙박·음식점업이 25만2천명으로 뒤를 이었다.
창업 동기는 '자신만의 사업을 경영하고 싶어서'라는 응답이 64%로 가장 많았다. 사업체당 창업 준비기간은 9.7개월이었다.
사업체당 창업비용은 9천만원이었고 이중 본인 부담금은 6천900만원이었다.


◇ 영업익 1천900만원 43.1%↓…월 160만원도 못벌어
지난해 사업체당 매출액은 2억2천400만원으로 전년 대비 4.5%(1천100만원) 감소했다.
제조업의 매출 감소율이 12.2%로 가장 높았고 예술·스포츠·여가업도 11.9%에 달했다.
사업체당 영업이익은 1천900만원으로 전년 대비 43.1%(1천400만원) 급감했다. 월별로 따지면 160만원에 미치지 못하는 수준으로 1년 전 대비 거의 반 토막이 났다.
예술·스포츠·여가업은 1년 영업이익이 300만원으로 1년 전보다 85.2% 급감했다. 교육서비스업은 800만원으로 66.4% 감소율을 보였다.
숙박·음식점업의 영업이익 감소율 역시 56.8%로 전년의 절반에도 미치지 못했다.




◇ 총부채 48조원↑…업체당 1억7천만원
소상공인이 보유한 총부채는 294조4천억원으로 47조7천억원이 늘었다. 증가율이 19.3%에 달한다. 업종 중에선 교육서비스업의 부채 증가율이 47.4%로 가장 높다.
사업체당 부채는 1억6천900만원이었다. 전년과 비교하면 200만원이 줄었지만 여전히 1천7천만원 안팎의 빚더미를 안고 있다.
지난해 같은 위기 상황에서 사업체당 부채가 줄어든 요인을 통계청은 사업체 수 증가(13만1천개)로 꼽았다. 분모인 사업체 수가 늘면서 평균 부채가 줄었다는 것이다.
기존에 빚을 내지 않았던 사업체가 소액의 부채를 쓰는 경우가 늘어나면서 전체 평균을 낮췄다는 분석도 가능하다. 실제로 사업체의 부채 보유 비율이 60.0%로 전년 대비 8.1%포인트 높아졌다.


◇ 평균 월세 100만원 안팎…방역지원금 수준
소상공인 중 사업장을 자가로 보유한 사람은 19.5%에 불과했다. 10명 중 8명은 사업장을 임차해 쓰고 있다는 의미다.
임차한 소상공인의 사업장 점유 형태를 보면 보증부 월세가 85.9%로 가장 많고 무보증 월세가 6.4%, 전세가 2.2%다.
보증부 월세의 경우 보증금 평균이 2천138만원, 월세는 119만원이다. 무보증 월세는 90만원이다.
정부가 최근 방역 조치 강화와 함께 지급한 방역지원금 100만원은 한 달 월세 정도 되는 셈이다.
소상공인들은 경영 애로 요인으로(복수 응답 가능) 경쟁 심화(38.3%)와 상권쇠퇴(37.6%), 원재료비(28.7%)를 꼽았다.
코로나19 상황에서 필요한 정책은 보조금 지원이 67.7%로 가장 많았다. 융자 확대(33.0%), 사회보험료 완화(21.4%)가 뒤따랐다.

spee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