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92.05

  • 17.66
  • 0.64%
코스닥

842.12

  • 0.13
  • 0.02%
1/2

10월 통화량 38조원↑…지원금 등에 예적금 22.6조원 증가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10월 통화량 38조원↑…지원금 등에 예적금 22.6조원 증가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10월 통화량 38조원↑…지원금 등에 예적금 22.6조원 증가
가계 18.3조원↑·기타금융기관 10.4조원↑…통화량 1년 전보다 12.4% 많아


(서울=연합뉴스) 신호경 기자 = 재난지원금 지급 등으로 예·적금이 늘어나면서 10월 통화량이 38조원이나 불었다.
한국은행이 15일 공개한 '통화 및 유동성' 통계에 따르면 10월 평균 광의 통화량(M2 기준)은 3천550조6천억원으로, 9월보다 38조원(1.1%) 증가했다.
넓은 의미의 통화량 지표 M2에는 현금, 요구불예금, 수시입출금식 예금(이상 M1) 외 MMF(머니마켓펀드), 2년 미만 정기 예금, 적금, 수익증권, CD(양도성예금증서), RP(환매조건부채권), 2년 미만 금융채, 2년 미만 금전신탁 등 곧바로 현금화할 수 있는 단기 금융상품이 포함된다.
10월 증가 폭(38조원)은 2002년 통계 편제 이후 사상 최대였던 지난 4월(50조6천억원)보다 작지만, 1년 전(작년 10월)과 비교하면 M2 절대 규모가 여전히 12.4% 많은 상태다.


경제주체별로는 한 달 새 가계·비영리단체에서 18조3천억원, 증권사 등 기타금융기관에서 10조4천억원이 불었다.
한은 관계자는 "가계와 비영리단체의 통화량은 재난지원금 지급 효과와 주식시장으로부터의 자금 인출 등의 영향으로 정기 예·적금 등을 중심으로 늘었다"며 "기타금융기관 통화량 증가는 국고 여유자금의 예치 규모가 커졌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하지만 기업 통화량은 10월보다 8천억원 줄었다. 부가가치세 납부, 해외기업 인수를 비롯한 해외투자 확대의 영향이다.
금융상품 중에서는 수시입출식 저축성예금(+11조4천억원), 정기예적금(+11.2조원), 금융채(+3.6조원)가 불었다.

shk999@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