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와 고용' 두마리 토끼 잡아야 하는 파월의 연준 2기
고물가·고용난 일시적 현상에 무게…지속시에는 통화긴축 방점 가능성
취약해진 금융시스템·가상화폐·기후변화 등 과제 산적
(워싱턴=연합뉴스) 류지복 특파원 =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의장이 22일(현지시간) 차기 의장 재지명을 받아 사실상 연임의 길을 걷게 됐지만 앞에 놓인 과제는 만만치 않다.
파월 의장은 2018년 첫 취임한 뒤 금리 인상에 나서기도 했지만 대체로 통화 완화 정책에 방점을 둔 비둘기파로 통했다.
또 인플레이션을 연 2% 밑으로 유지하면서 약 50년 만에 최저치인 3.5%의 실업률을 기록하는 등 인플레 억제와 최대고용 달성이라는 연준의 양대 목표를 충족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작년 초 발생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대유행이 기초적 경제 여건을 일거에 바꿔버렸다.
대규모 실업 사태가 상당 폭 개선됐지만 취업자 수는 여전히 전염병 대유행 이전에 비해 420만 명 적은 상황이고, 지난달 인플레이션은 6.1%로 31년 만에 최대폭 상승률을 기록했다.
고물가는 코로나19 이후 대규모 재정 부양과 '제로 금리' 수준의 금융 완화로 천문학적인 돈을 푼 정책적 영향에다 공급망 교란으로 수급 불일치가 발생한 영향이 컸다.
고용의 미회복은 전염병 대유행 여파로 일터로 복귀하지 않았거나 눈높이에 맞는 일자리를 찾지 못한 노동력이 상당함을 의미한다. 그 결과 3분기 임금 상승률은 연율로 약 6%에 달했다.
파월 의장은 고용난과 물가 상승을 아직은 일시적 현상으로 보는 경향이 강하다.
코로나19 억제로 불안감이 완화하면 직장으로 돌아오는 노동자가 늘고, 물가 역시 목표치인 2% 수준으로 안정화할 것이라는 기대에서다.
이는 올해 들어 고물가 행진에도 불구하고 금리 인상이라는 고강도 수단 대신 자산매입 축소(테이퍼링)라는 상대적으로 온건한 수단을 쓴 이유이기도 하다.
하지만 문제는 고용과 물가가 예상대로 움직이지 않는 경우다. 저고용과 고물가가 지속한다면 파월의 2기 연준은 둘 중 하나에 우선순위를 두는 선택을 해야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통화 긴축 정책을 쓰면 물가를 잡을 수 있지만 고용은 줄어든다. 따라서 연준이 최대 목표인 물가 안정에 방점을 두고 금리 인상에 나선다면 고용 회복에 비중을 둔 조 바이든 대통령과 마찰을 빚는 상황이 생길 수 있다.
월스트리트저널은 "파월 의장은 2기 때 매우 다른 경제 환경에 직면할 것"이라면서 "물가 상승률이 계속 높다면 경기침체와 정치적 역풍을 무릅쓰고라도 비둘기파에서 매파로 축을 옮겨야 한다"고 말했다.
파월 의장 앞에 놓인 다른 과제도 적지 않다.
초완화적 통화정책으로 인해 주식, 주택 등 자산 가격이 급등한 상황이라 금융 시스템이 위기에 취약한 구조에 놓였다는 우려가 나온다. 가상화폐의 폭발적 성장 역시 금융 시스템의 잠재적 위험을 키우는 요인이라는 지적이다.
이는 금융 규제나 감독 강화와 맞물린 문제이지만, 파월 의장은 그간 민주당의 진보 성향 의원들로부터 금융 규제에 소극적이라는 비판을 받았다.
공격적인 양적 완화 정책이 주식이나 다른 자산을 보유한 부자들의 부를 키우며 소득 불평등을 심화했다는 비판 역시 파월 의장으로선 부담스러운 부분이다.
가상화폐의 변동성을 줄이기 위해 달러화와 같은 기존 법정화폐 가치에 연동하도록 설계된 '스테이블 코인'을 어떻게 적절히 규제할 것인지도 재무부는 물론 연준이 함께 고민할 과제다.
바이든 행정부는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연준의 적극적 역할을 주문한다. 민주당 내 진보 인사들은 파월 의장이 기후변화에 소극적 태도를 보인다는 불만을 표시하기도 했다.
이를 의식한 듯 바이든 대통령은 이날 파월을 재지명하는 기자회견에서 연준이 기후변화에서도 다른 중앙은행을 선도하는 리더가 되길 바란다고 말했다.
블룸버그통신은 "파월 의장이 연준의 107년 역사에서 전례가 거의 없을 정도로 정치적으로 까다로운 경제 문제에 직면해 있다"며 어느 하나라도 실수한다면 경기 팽창을 끝내고 침체를 촉발할 수 있다고 말했다.
jbryo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