섹스 관광 합리화하는 이슬람 종교 결혼 부작용 부각
(자카르타=연합뉴스) 성혜미 특파원 = 인도네시아 서부 자바에서 결혼한 지 두 달 된 여성이 외국인 남편의 산성 물질 투척으로 살해당하는 끔찍한 사건이 발생해 인도네시아 사회가 충격에 휩싸였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1/11/22/AKR20211122138000104_01_i.jpg)
22일 안타라통신 등에 따르면 토요일인 지난 20일 오전 1시30분께 서부 자바 찌안주르군의 한 주택에서 사라(21)라는 여성이 산성 물질에 온몸에 화상을 입은 채 마을 주민들에게 발견돼 병원으로 이송됐으나 숨졌다.
마을 주민은 새벽에 비명을 듣고 달려갔더니, 사라가 손이 묶인 채 화상을 입고 죽어가고 있었다고 경찰에 진술했다.
사라는 약 두 달 전 사우디아라비아인 압둘 라티프와 이슬람 종교법에 따른 혼인 의식 '니카 시리'(nikah siri)로 부부의 연을 맺었을뿐 정식으로 혼인신고를 하지 않은 상태였다.
경찰 조사 결과 사건 당일 새벽 말다툼 중 사라의 남편이 산성 물질을 투척한 뒤 곧바로 달아난 것으로 조사됐다.
경찰은 사건 발생 다음 날인 21일 오전 자카르타 외곽 수카르노-하타공항에서 출국하려던 압둘을 살인 혐의로 체포했다.
경찰은 마을 주민들로부터 "외국인 남편이 의처증 증세가 있었다"는 진술을 확보하고, 범행 동기를 조사 중이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1/11/22/AKR20211122138000104_02_i.jpg)
사라 부부가 어떤 과정을 거쳐 종교 결혼만 했는지 불명확하지만, 이번 사건을 계기로 중동 남성의 '섹스 관광'을 위한 종교 결혼 문제가 다시 부각됐다.
인도네시아에 관광 온 중동 남성들은 혼외 성관계라는 종교적 죄를 피하고자 인도네시아인 여성과 종교 결혼만 하고 일주일 또는 한두 달 동안 함께 살다가 본국으로 돌아가는 경우가 있다.
특히 서부 자바의 휴양지 뿐짝에서 수십 년 전부터 이러한 방식의 성매매를 주선하는 알선업자가 활개를 쳤다.
앞서 관련 성매매 조직을 수사한 경찰은 통상 일주일간의 결혼 계약을 위해 중동 남성이 1천만 루피아(84만원)를 내고, 이 가운데 40%를 알선업자가 챙긴다고 밝힌 바 있다.
일부 성매매 여성들은 중동 남성이 본국으로 돌아간 뒤 임신한 아이를 홀로 낳아 키우기도 한다.
noano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