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외연구원 "내년 세계 경제 4.6% 성장…미국 3.8%·중국 5.5%"
"공급망 교란 타격 있지만 심각한 요인은 아냐…전반적 회복 기조"
"신흥국 긴축발작 가능성 크지만 한국경제 영향 제한적"
(세종=연합뉴스) 김다혜 기자 =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이 내년 세계 경제가 4.6% 성장하며 회복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11일 전망했다.
대외연구원은 이날 '2022년 세계 경제 전망' 기자간담회에서 내년 세계 경제 성장률이 올해 예상치(5.9%)보다 1.3%포인트 낮은 4.6%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이는 국제통화기금(IMF) 전망치(4.9%)보다 낮고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전망치(4.5%)보다는 높은 수준이다. 지난 5월 대외연구원 전망치(4.3%)보다는 0.3%포인트 상향조정됐다.
연구원은 "주요 선진국의 경기회복 흐름은 주요 위험 요인에도 불구하고 2022년에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고 진단했다.
신흥국에 대해서는 "완만한 경기회복이 이뤄지겠으나 올해 하반기부터 나타나고 있는 델타 변이의 재확산세를 얼마나 효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는지가 내년 성장세를 결정지을 전망"이라고 설명했다.
국가별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보면 미국 3.8%, 중국 5.5%, 유로 지역 4.6%, 영국 5.3%, 일본 3.3%, 인도 7.9%, 러시아 2.9%, 브라질 1.5% 등이다.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이날 내놓은 우리나라 내년 경제성장률 전망치(3.0%)보다 대체로 높은데, 여기에는 지난해와 올해 코로나19가 이들 국가에 미친 경기 충격이 우리나라보다 컸던 데 따른 기저효과가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김흥종 원장은 "소비와 투자가 점차 회복되는 가운데 공급망 병목이 인플레이션을 촉발하고 있다"면서도 "공급망 교란이 국제적으로 큰 타격을 주는 것은 분명하지만 전체적인 성장률을 심각하게 끌어내릴 만큼 구조적인 요인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김 원장은 또 "내년에 미국을 중심으로 테이퍼링(자산매입축소)·금리 인상이 본격화하면 신흥국에서 (긴축) 발작이 있을 가능성이 크지만 전 세계 경제나 한국 경제에 미치는 영향은 상당히 제한적일 것"이라며 "전반적으로 내년에도 회복 기조가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원은 미국에 대해서는 "민간부문의 회복이 지속되겠으나 애초 계획보다 축소 통과된 인프라 투자 법안 규모, 중간선거 등 정치 일정에 따른 정책 지연 및 축소, 연준의 테이퍼링 및 금리 인상 우려 등이 하방 요인"이라고 설명했다.
중국의 경우 "산업규제로 인한 민간부문 위축, 전력난으로 인한 생산 부진, 부동산 기업의 잠재적 파산 위험, 미중 갈등 재점화 등 경기 하방 요인이 있다"면서도 "안정적 경기 정상화를 이룰 것"으로 예상했다.
이승신 중국경제실장은 헝다(恒大) 사태와 관련해 "(부채가) 감당하지 못할 수준은 아닌 것 같고 만약에 정리가 된다고 하더라도 시장에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으로 본다"고 부연했다.
연구원은 내년 세계 교역이 코로나19 팬데믹 이전의 증가 추세로 회귀할 것으로 전망했다.
다만 "올해 가파른 상승세에 따른 기저효과, 서비스 교역 회복세 부진 우려, 각종 하방 요인의 영향을 간과할 수 없다"고 덧붙였다.
원/달러 환율은 국내 경제활동 활성화 등에 따라 소폭 하락하고, 국제유가는 올해와 비슷한 수준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했다.
세계 경제 위험 요인으로는 디지털·그린 전환 비용 부담과 정부 예산 제약, 녹색 전환에 따른 민간에서의 병목·지체 현상, 국가 간 백신 접종률 격차와 불확실한 국제 공조 여건을 꼽았다.
moment@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