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서미숙 기자 =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ESG(환경·사회·지배구조) 경영을 본격화하고, 전관특혜와 일감몰아주기 차단 등 불공정 관행 혁신에도 적극 나선다.
LH는 29일 LH서울지역본부에서 제2차 국민공감위원회 회의를 열어 위원회 산하에 ESG 분과를 신설하는 안을 확정했다고 이날 밝혔다.
앞으로 이 분과에서는 ESG 경영과 관련한 실행 아이디어를 제시하고 이해관계자 참여 방안을 발굴하는 등 자문을 수행한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1/10/29/AKR20211029072100003_01_i.jpg)
LH는 현재 대내외 자문·컨설팅을 통해 ESG 경영전략을 수립 중이며, 올해 말까지 ESG 경영전략 체계를 마련하고 내년부터 모든 의사결정에서 본격적으로 ESG 경영 실천을 도입할 예정이다.
LH는 ESG 경영의 일환으로 비주택 거주자 등 주거복지대상을 적극 발굴해 임대주택을 제공하고, 노후주택 그린리모델링 사업 규모를 올해 3만7천가구에서 내년에는 4만가구로 확대할 방침이다.
또 에너지소비를 최소화한 제로에너지 건축인증 의무화 대상을 오는 2025년까지 30만가구 이상 공동주택으로 확대해 연간 1천200기가와트시(GWh) 규모의 에너지를 절감하는 등 ESG 경영을 본격화한다.
LH는 이날 회의에서 이번 국정감사의 주요 지적사항인 퇴직자 전관특혜, 일감몰아주기 등 불공정 의혹에 대한 조치 방안에 대해서도 위원회에 보고했다.
LH는 자사 감정평가사와 법무사의 과다 수임을 제한하기 위해 감정평가 수의계약 범위를 축소해 공개 경쟁으로 변경하고, 법무사 선정지표를 개정하는 등 투명하게 제도 개선을 추진하기로 했다.
설계용역 등 일감 몰아주기에 대해서는 감사원 등의 전수조사 결과에 따라 즉시 조치방안을 마련하기로 했다.
이와 함께 LH는 주거 혁신 방안의 하나로 임대주택을 의료·돌봄·일자리까지 한 번에 해결할 수 있는 종합복지공간으로 탈바꿈시키고, 12월에 '통합공공임대주택'을 처음 선보이겠다는 계획도 이날 공개했다.
통합공공임대주택은 행복·국민임대 등 복잡한 임대유형을 단일화하고 공급기준을 일원화한 형태로, 입주자의 소득에 따라 임대료가 부과돼 저소득층부터 중산층까지 구분 없이 거주할 수 있다. 과천지식정보타운(605호)과 별내신도시(576호)에 최초 공급된다.
김현준 LH 사장은 "주거복지 기반 강화에 역량을 집중해 국민에게 든든한 주거복지 플랫폼으로 자리매김하고, 환경과 사회까지 생각하는 투명한 경영으로 국민께 신뢰받을 수 있도록 ESG 경영을 적극 실천하겠다"고 말했다.
sm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