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97.82

  • 13.76
  • 0.49%
코스닥

840.44

  • 1.79
  • 0.21%
1/3

뇌졸중·심장마비 재발 막는 '최적 혈당수치' 찾았다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뇌졸중·심장마비 재발 막는 '최적 혈당수치' 찾았다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뇌졸중·심장마비 재발 막는 '최적 혈당수치' 찾았다
분당서울대·서울아산병원 1만8천명 연구결과…"당화혈색소 6.8∼7.0% 유지해야"

(서울=연합뉴스) 김길원 기자 = 당뇨병 환자에게 적절한 혈당 조절은 뇌경색 등 심뇌혈관질환이 반복적으로 발생할 위험을 낮추는 데 매우 중요하다. 하지만, 지금까지는 어느 정도 수치로 혈당을 관리하는 게 가장 이상적인지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상황이었다.
이런 가운데 국내 의료진이 심뇌혈관질환의 반복적 발생 위험을 최소화할 수 있는 최적의 혈당(당화혈색소) 수치가 6.8∼7.0%라는 연구 결과를 내놓아 주목된다.
당화혈색소는 혈당이 증가해 적혈구 내 혈색소(헤모글로빈)에 포도당이 붙은 상태를 말한다. 이처럼 한번 붙은 당분은 적혈구가 수명을 다할 때까지 그대로 붙어 있기 때문에 적혈구의 수명(120일)이 유지되는 2∼3개월 동안의 평균 혈당 농도를 알 수 있다.
분당서울대병원(한문구 신경과 교수)·서울아산병원(장준영 진경과 교수) 공동 연구팀은 당뇨병을 동반한 급성 뇌경색 환자 1만8천567명을 대상으로 입원 시점의 당화혈색소 수치와 이후 1년 동안의 뇌경색, 심근경색에 따른 사망 및 복합심뇌혈관질환 발생위험을 비교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6일 밝혔다.
연구 결과는 미국 신경과학회 공식 학회지인 '신경학'(Neurology) 10월호에 발표됐다.
연구에 참여한 환자들의 평균 당화혈색소는 7.5%였다. 이 중 1년간 8%(1천437명)에서 복합심뇌혈관질환이 발생했으며, 5%(954명)에서 뇌경색이 재발했다.

연구팀은 입원 당시 당화혈색소가 6.8∼7.0%를 초과하는 경우 복합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험성이 의미 있게 증가하는 것으로 봤다.
통계치로는 당화혈색소가 7.0%를 초과하면서 혈당 조절이 안 좋았던 환자들은 6.5% 미만으로 잘 조절됐던 환자들에 견줘 각각 복합심뇌혈관질환 발생 위험은 27%, 뇌경색 재발위험은 28% 높았다.
연구팀은 특히 뇌 속 작은 혈관이 막혀서 발생하는 '열공 뇌경색'의 경우 목표 당화혈색소 수치를 좀 더 낮게 잡고 엄격하게 조절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는 견해를 제시했다. 반면 큰동맥죽상경화증이나 심한 대뇌혈관 협착이 동반한 환자에게서는 목표치를 좀 더 높이 잡아 다소 덜 엄격하게 조절하면 도움이 될 수 있다는 게 연구팀의 분석이다.
현재 당뇨병 표준치료 지침에서는 심장질환, 뇌혈관질환 발생 위험성을 줄이기 위해 당화혈색소를 7.0% 미만으로 조절하도록 권고하고 있다. 또한, 고령 또는 기대 여명이 짧거나 혈관 합병증이 많이 진행한 경우, 심한 기저질환이 있는 경우, 저혈당 발생 위험이 높은 경우에는 당화혈색소 수치가 8.0%를 넘지 않는 정도로 조절하도록 권고한다.
연구책임자인 한문구 교수는 "당뇨병 환자가 뇌졸중과 심장마비, 기타 혈관질환의 발생 및 재발위험을 최소화하려면 당화혈색소 수치를 6.8∼7.0% 범위로 조절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장준영 교수는 "특히 당뇨병을 동반한 뇌경색 환자의 경우 뇌경색의 여러 종류에 따라 개별화된 혈당 조절 전략을 수립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bi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