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04.71

  • 1.65
  • 0.07%
코스닥

692.22

  • 0.22
  • 0.03%
1/3

"북한, 핵무기급 농축우라늄 생산시설 확장 정황"(종합)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북한, 핵무기급 농축우라늄 생산시설 확장 정황"(종합)
CNN, 영변핵단지 위성사진 입수해 분석 보도
"무기급 핵물질 25% 증산할 수 있을 규모"
38노스도 변화 포착했으나 "목적 불분명" 진단

(서울=연합뉴스) 임주영 장재은 기자 = 북한이 영변 핵시설에서 핵무기 원료가 될 수 있는 고농축 우라늄을 생산하는 시설을 확장하는 정황이 있다고 미국 CNN방송이 1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상업위성 업체 맥사(Maxar)가 이번 주 초에 촬영한 이미지에는 영변핵단지 내 우라늄 농축공장에서 진행되고 있는 건설작업이 포착됐다.
제프리 루이스 미국 미들버리 국제학연구소 동아시아 비확산센터 소장은 건설이 완료되면 북한이 무기급 핵물질의 생산을 무려 25% 늘릴 수 있을 것으로 분석했다.
루이스 소장은 CNN 인터뷰에서 "최근 영변의 시설확장을 보면 무기 생산을 위한 핵물질의 증산 계획이 드러난다"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지금 진행되는 공사는 연간 우라늄 농축량을 늘릴 원심분리기를 더 많이 수용하려고 바닥면적을 넓히려고 한 예전 노력과 맥락이 같다고 지적했다.
루이스 소장은 "새 지역은 대략 1천㎡로 원심분리기 1천대를 추가로 수용하기에 충분한 공간"이라며 "추가 원심분리기 1천대는 고농축 우라늄을 생산하는 우라늄 농축 공장의 역량을 25% 높일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만약 북한이 현재 사용하는 원심분리기의 성능을 높인다면 우라늄 농축 공장의 생산력이 상당히 강화될 수도 있다고 내다봤다.

CNN은 미국 당국자들도 최근 우라늄 농축공장에서 이뤄진 최근 활동을 인지하고 있다고 소식통 2명을 인용해 보도했다.
그러면서 당국자들이 이 같은 상황 전개가 무기급 우라늄의 증산 계획을 알리는 신호일 수 있다는 점을 인정하고 있다고 전했다.
다만 CNN은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국방부, 국가정보국(DNI), 중앙정보국(CIA)은 모두 공식적인 답변을 거부했다고 설명했다.
고농축 우라늄은 플루토늄과 함께 핵탄두에 사용될 수 있는 재료다.
지그프리드 헤커 스탠퍼드대 국제안보협력센터 선임연구원과 같은 북핵 전문가는 북한이 이미 플루토늄과 고농축 우라늄으로 만든 핵무기를 20∼60개 보유하고 있을 것으로 추산하고 있다.
앞서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지난달 27일 발간한 연례 보고서에서 영변 핵단지 내 5MW(메가와트) 원자로와 방사화학연구소의 변화도 지적한 바 있다.
5MW 원자로에서 가동 후 나오는 폐연료봉을 방사화학 연구소에서 재처리하면 플루토늄이 추출된다.
영변핵단지는 북한이 핵무기 개발 프로그램에 사용하는 핵심 시설 가운데 하나로 대량살상무기(WMD) 확산을 우려하는 국제사회의 이목이 집중된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도널드 트럼프 당시 미국 대통령과의 2019년 베트남 하노이 정상회담에서 제재 해제의 대가로 영변핵시설을 폐기할 수 있다고 제안한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그러나 비핵화를 둘러싼 북미협상은 교착상태에 빠졌고 트럼프 대통령은 재선에 실패해 올해 임기를 마쳤다.

미국의 북한 전문매체 38노스도 이날 우라늄 농축 시설의 변화를 포착해 보도했다.
38노스가 8∼9월 찍힌 상업 위성사진 판독 결과를 토대로 공개한 글에 따르면 영변 우라늄 농축 공장의 캐스케이드(연속 농축을 위해 원심분리기 다수를 연결한 설비) 홀 옆 별관 옥상에 있는 냉각 장치가 지난달 25일부터 이달 1일 사이에 제거됐다.
38노스는 적절한 공기 조절과 시스템 냉각은 캐스케이드 홀 내부의 일정 온도 유지를 포함해 우라늄 농축 과정에 필수적이기 때문에 "냉각을 위한 다른 수단이 없다면 우라늄 농축 공장이 현재 가동 중일 것 같지 않다"고 주장했다.
이 매체는 냉각 장치가 교체 또는 재배치될지는 두고 봐야 한다고 말했다.
38노스는 "우라늄 농축 공장에서 원심분리기 홀의 냉각 능력은 2014년 이후 북한 농축 프로그램의 초점이자 쟁점이 돼왔다"고 짚었다.
북한은 2014년 캐스케이드 홀의 기능을 지원하기 위해 3개의 냉각 장치를 업그레이드했다고 이 매체는 말했다. 작년에는 첫 번째 홀과 연관된 냉각 장치 하나가 영구 제거됐고 5개의 나머지 장치는 지난달 25일과 이달 1일 사이에 제거됐다고 덧붙였다.
앞서 라파엘 그로시 IAEA 사무총장은 13일 IAEA 이사회에서 북한이 최근 영변 원심분리기 농축 시설에서 냉각 장치를 제거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는 최근까지 가동 중단 상태였던 우라늄 농축 공장을 재가동하려는 징후라는 해석이 나오기도 했다.

38노스는 "장치 철거의 목적은 불분명하다"며 이는 냉각 시스템을 개선하기 위한 노력의 하나일 수 있다고 짚었다.
캐스케이드 홀의 초기 냉각 장치 3개 세트는 건물에 너무 가까이 배치돼 홀 지붕의 서리와 얼룩으로 인해 결로 문제가 생겨 교체해야 했다고 이 매체는 말했다. 이는 2014년 교체됐지만, 또 다른 새로운 세트가 설치된 후 교체됐다고 이 매체는 설명했다.
설치는 당시 지속되던 원심분리기의 작동 중단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수행된 것으로 보인다고 38노스는 말했다. 그렇지 않다면 특정 유형의 냉각 시스템이 단순히 사용 수명이 다했을 수도 있다고 부연했다.
냉각 시스템의 기대 수명은 일반적으로 15∼20년이지만, 불규칙한 유지·보수, 극단적 기상 조건, 전력 불일치는 수명을 단축할 수 있다.
만약 북한이 실제로 공장의 운영 기능에 더 적합한 시스템으로 냉각 장치를 교체하는 과정에 있다면, 대체 냉각 수단이 아직 마련돼 있지 않다고 가정할 경우, 시스템 업그레이드가 완료될 때까지 우라늄 농축 활동을 중지했을 가능성이 크다고 38노스는 주장했다.
38노스는 또한 이달 1∼9일 사이에 벽이 건설된 캐스케이드 홀 바로 북쪽 지역에서 새로운 공사가 시작됐다고 말했다. 이달 9∼14일 사이에 이 지역 동쪽 끝에서 땅파기가 시작됐으나 이 활동의 목적은 아직 분명하지 않다고 부연했다.
zo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