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정위 조사받는 카카오 김범수, 고의성 입증시 검찰고발 불가피(종합)
'비금융업 신고' 케이큐브홀딩스, 금융업 매출 95% 넘어 금산분리 위반여지
'3천억 상생기금', 제재 여부·수위엔 영향 미미할듯
(세종=연합뉴스) 이보배 기자 = 공정거래위원회가 계열사 지정자료를 제대로 신고하지 않은 카카오[035720] 김범수 이사회 의장에 대해 조사를 진행하는 가운데, 고의성이 김 의장의 제재 수위를 결정하는 결정적 요소가 될 전망이다.
15일 공정위와 관련 업계에 따르면, 공정위 조사 결과에 따라 김 의장은 검찰에 고발을 당할 가능성도 있다.
공정위는 카카오가 최근 5년간 제출한 지정자료(공시대상기업집단 지정을 위한 계열회사·친족·임원·주주 현황 자료)에서 김 의장이 주식 100%를 보유한 사실상 카카오의 지주회사 케이큐브홀딩스와 관련한 자료를 누락하거나 허위로 보고한 정황이 있는지를 집중적으로 살피는 중이다.
김 의장의 검찰 고발 여부를 결정하게 되는 주요 요소는 '인식 가능성'과 '의무 위반의 중대성'이다.
공정위의 '기업집단 관련 신고 및 자료제출의무 위반행위에 대한 고발지침'에 따르면 인식 가능성이 '현저'한 경우, 인식 가능성이 '상당'하고 중대성이 '현저'한 경우 검찰 고발 대상이 된다.
인식 가능성이 '상당'하면서 중대성이 '상당'하거나 '경미'한 경우에는 원칙적으로 고발 대상이 아니다. 다만 인식 가능성과 중대성이 모두 '상당'한 건 중에서도 자진신고 여부, 기업집단 소속 여부 등에 따라서는 고발 대상이 될 수도 있다.
만약 김 의장과 카카오가 규제 감시망을 벗어나기 위해 고의로 누락·허위 누락자료를 제출한 것이 확인될 경우 검찰 고발은 피할 수 없다는 의미다.
케이큐브홀딩스 지정자료 누락 혐의는 김 의장의 6촌 이내 혈족 중 다수가 친족 명단에서 빠진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허위 보고 혐의는 사실상 금융업을 영위하는 케이큐브홀딩스를 비금융업으로 신고했다는 내용이다.
케이큐브홀딩스는 올해 업종을 경영컨설팅업에서 금융투자업으로 변경했다.
하지만 공정위는 그간 케이큐브홀딩스 매출의 95% 이상이 금융업과 관계된 것을 확인하고, 이 회사가 업종 변경 이전부터 금융업을 영위하고 있었는데도 비금융업으로 허위 신고한 혐의가 있다고 판단하고 있다.
공정위는 이 때문에 금산분리 규정 위반도 함께 조사하고 있다.
현행 공정거래법은 금산분리 원칙에 따라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소속 금융·보험사가 지분을 보유한 비금융·보험사에 의결권을 행사할 수 없도록 규정하고 있다.
카카오는 2019년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상출기업집단)으로 지정됐다.
금융사인 케이큐브홀딩스가 상호출자제한기업집단 지정 이후에도 비금융사인 카카오에 대해 의결권을 행사했다면 법을 위반하게 되는 것이다.
표면적으로는 올해 케이큐브홀딩스가 업종을 변경한 뒤 주주총회가 열리지 않아 의결권 행사한 사실이 없기 때문에 문제 될 것이 없다.
그러나 케이큐브홀딩스가 업종 변경 전부터 사실상 금융업을 영위했던 것으로 판단되면 2019년 이후 의결권 행사는 위법 행위로 인정될 수 있다.
공정위는 케이큐브홀딩스 관련 조사 이외에도 택시단체들의 신고에 따라 카카오T앱을 통한 카카오모빌리티의 가맹택시 '콜 몰아주기'에 대해서도 조사 중이다.이 사건에서는 택시 호출 시장을 장악한 카카오모빌리티의 시장지배력 남용 여부가 쟁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공정위로부터 전방위 압박을 받는 카카오는 전날 소상공인·협력사 지원을 위한 3천억원 규모의 기금을 조성하고 모빌리티 일부 사업을 조정하는 등 상생 방안을 내놨다.
그러나 상생안이 공정위 조사 결과와 제재 여부·수위 등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할 것이라는 관측이 공정위 안팎에서 나온다.
상생안의 구체적인 내용이 나온 것이 아닌데다가, 케이큐브홀딩스를 겨냥한 조사의 경우 편법적 지배구조가 핵심 문제인 만큼 카카오의 상생 의지와는 별개의 사안으로 취급될 것이라는 이유에서다.
boba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