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공급망, 중국→아세안 심화…상업용 항공편 재개 시급"
전경련, '아세안 시프트' 분석 결과…한국, 對아세안 직접투자 증가율 1위
(서울=연합뉴스) 장하나 기자 = 최근 중국에서 베트남이나 인도네시아 등 아세안 국가로 생산 설비 이전이 가속화하는 가운데 아세안 주요 투자국에 대한 상업용 항공편 재개 등의 우리 기업의 아세안 비즈니스 기회를 확대하기 위한 지원이 시급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전국경제인연합회(전경련)는 아세안 창설 54주년을 맞아 글로벌 공급망의 '아세안 시프트' 특징과 한국의 통상정책 과제를 분석한 결과를 17일 발표했다.
전경련에 따르면 2016∼2020년 전 세계의 대(對)아세안 직접투자는 7천310억 달러로, 2011∼2015년(5천604억 달러) 대비 30.4% 증가했다. 같은 기간 대중국 직접투자는 6천330억 달러에서 6천989억 달러로 10.4% 증가하는 데 그쳤다.
2018년 미중 무역전쟁에 따른 미국의 대중국 수출규제를 회피하기 위한 중국 내 일부 외국인 투자의 이탈, 코로나19 과정에서 발생한 중국 내 생산기지 셧다운의 영향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글로벌 공급망의 아세안 시프트가 심화한 것으로 보인다.
이로 인해 전 세계 직접투자에서 아세안 10개국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7년 중국을 추월한 이후 2019년 격차가 2.6%포인트(아세안 11.8%, 중국 9.2%)로 확대됐다. 다만 작년에는 코로나19에 따른 아세안 내 신규 투자 프로젝트 지연으로 중국(15.0%)이 아세안(13.6%)을 앞질렀다.
2016∼2020년 유럽연합(EU), 미국, 일본 등 주요 경제권·국가의 대아세안 직접투자 누계는 2011∼2015년 대비 모두 증가했다. 특히 한국의 직접투자 증가율이 74.2%로 가장 높았고, 중국(65.4%)과 대만(40.6%), 일본(21.8%) 등이 뒤를 이었다.
이처럼 아세안 직접투자가 크게 늘며 아시아 역내 중간재 교역에 있어 아세안 6개국의 비중은 30.8%로 중국(31.2%)과 비슷한 수준이 됐다고 전경련은 전했다.
순투자 기준 한국의 해외직접투자통계에 따른 2016∼2020년 한국의 대아세안 직접투자는 2011∼2015년 대비 66.3% 증가한 316억 달러를 기록했고, 대중국 직접투자는 11.0% 증가한 181억 달러로 집계됐다. 이중 제조업의 대아세안 직접투자는 2011∼2015년 대비 37.1% 증가한 122억 달러였다.
한편 한국의 전체 해외직접투자에서 차지하는 아세안의 비중은 2014년 16.2%로 처음으로 중국(12.9%)을 추월했고, 작년에는 코로나19 영향에도 20.3%로 확대됐다.
이처럼 아세안이 중국을 제치고 우리 기업의 가장 중요한 진출 지역으로 부상하는 만큼 한·인도네시아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CEPA)과 한·캄보디아 자유무역협정(FTA)에 대한 조속한 비준·발효, 베트남·인도네시아 등 주요 투자국에 대한 상업용 항공편 재개 등이 시급하다는 것이 전경련의 주장이다.
김봉만 전경련 국제협력실장은 "한국과 아세안 간 연계성 증진을 위해 40조원 규모의 인도네시아 신행정수도 건설사업, 55조원 규모의 태국 동부경제회랑 인프라 개발 등 아세안의 대형 인프라 프로젝트에 우리 기업 참여가 확대될 수 있도록 정부의 정책 지원이 강화돼야 한다"고 말했다.
hanajjan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