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쿄=연합뉴스) 박세진 특파원 = 내달 23일 예정된 도쿄올림픽 개회식에 미국 정부 대표로 조 바이든 대통령의 부인인 질 여사가 참석하는 방안이 부상하고 있다고 요미우리신문이 22일 보도했다.
이 신문은 미 정부가 도쿄올림픽 개회식에 고위급 파견 문제를 놓고 막바지 검토 중이라며 바이든 대통령은 참석하지 않는 쪽으로 기울었다고 전했다.
바이든 대통령은 지난 5월 백악관에서 열린 스가 요시히데(菅義偉) 일본 총리와의 회담이나 지난 11~13일 영국 콘월에서 개최된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에서 도쿄올림픽 개최와 관련해 지지 입장을 표명했지만 참석 여부를 놓고는 자신의 생각을 말한 적이 없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1/06/22/AKR20210622074700073_01_i.jpg)
요미우리에 따르면 2008년 베이징 올림픽의 조지 W. 부시 대통령(이하 당시 직책) 이후로는 미 대통령이 올림픽 개회식에 참석한 예가 없다.
2012년 런던 대회에는 버락 오바마 대통령 부인인 미셸 여사가 참석했고, 2014년 소치 동계대회 때는 재닛 나폴리타노 국토안보부 장관이 갔다.
또 오바마 정권 시절인 2016년 리우데자네이루 대회에는 존 케리 국무장관이, 2018년 평창 동계대회에는 마이크 펜스 부통령이 각각 참석했다.
일본에서 열린 1998년 나가노(長野) 동계 대회 때도 앨 고어 부통령이 참석했다.
이 때문에 일본 정부는 이번 도쿄대회에 바이든 대통령 참석이 무산될 경우 카멀라 해리스 부통령의 방일을 기대하고 있었다.
요미우리는 부친이 자메이카 출신이고 모친이 인도계여서 첫 아시아계 부통령인 해리스의 방일이 도쿄올림픽을 계기로 성사된다면 아시아 외교 무대에 데뷔하는 성격을 띤다는 얘기가 미일 외교가에서 나왔다고 전했다.
그러나 바이든 정권 현안인 불법 이민 문제를 관장하는 해리스 부통령은 이달 첫 외유로 멕시코 등 중미 국가를 순방한 데다가 이민 문제를 놓고 공화당 측 공세가 강해지는 상황이어서 아시아 외유가 어렵다는 지적이 나오는 것이 걸림돌이라고 지적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1/06/22/AKR20210622074700073_02_i.jpg)
이런 가운데 유력 후보로 떠오른 사람이 질 여사라는 것이다.
요미우리는 질 여사가 이달 영국에서 열린 G7 정상회의를 통해 국제외교 무대에 데뷔해 의욕적으로 활동했고, 2012년 런던 올림픽 때는 미셸 여사가 개회식에 참석했던 점을 들어 질 여사의 도쿄올림픽 개회식 참석 가능성을 거론했다.
이 신문은 미 정부 고위 관계자가 도쿄올림픽 때 누구를 참석시킬지는 최종적으로 여론 동향도 고려해 판단될 것이라고 말했다고 전했다.
parksj@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