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카르타=연합뉴스) 성혜미 특파원 = 서울 강남의 판자촌 구룡마을 뒤에 타워팰리스가 우뚝 솟아있는 것처럼 자카르타 남부 초고층 아파트·백화점 복합단지 끄망빌리지 앞에는 판자촌이 있습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1/04/30/AKR20210430132000104_01_i.jpg)
찌프테 우타라(Cipete utara)라는 이름의 이 판자촌은 이른바 '인도네시아판 구룡마을'이라 할 수 있는데요, 어린아이부터 노인까지 14가구가 살고 있습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1/04/30/AKR20210430132000104_02_i.jpg)
판자촌 옆에는 큰 개울이 흐르는데, 폭우가 내리면 판자촌 전체가 어김없이 물에 잠깁니다.
전기가 안 들어오고, 상하수도 시설도 없지만, 이곳 주민들은 돈이 없어서 다른 곳으로 이사할 엄두를 못 냅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1/04/30/AKR20210430132000104_03_i.jpg)
![](http://img.yna.co.kr/etc/inner/KR/2021/04/30/AKR20210430132000104_04_i.jpg)
작년 5월 인도네시아에 사는 한인들이 이 마을에 처음으로 라면과 마스크, 쌀과 과자를 지원한 데 이어 30일 오전(현지시간) 거의 1년 만에 다시 찾아왔습니다.
연합뉴스 특파원도 2년 연속 판자촌 방문에 동행했습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1/04/30/AKR20210430132000104_05_i.jpg)
라면 50박스와 마스크 3천장, 티셔츠 100장을 실은 승합차가 도착하자, 마을 대표 나낭(50)씨를 비롯한 주민들이 달려 나와 반깁니다.
지난해 가을부터 이어진 우기에 여러 차례 마을이 물에 잠겼고, 그사이 두 명의 주민이 코로나로 목숨을 잃었습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1/04/30/AKR20210430132000104_06_i.jpg)
나낭씨는 "한국 사람들이 우리를 잊지 않고, 이렇게 온정을 베풀어줘 정말 감사드린다"며 고개 숙여 인사했습니다.
구호품을 전달한 민주평화통일자문회의 송광종 동남아남부 협의회 회장과 안선근 국립이슬람대학교 교수는 "코로나 시기에 살기가 더 힘들겠지만, 꿋꿋이 버티길 바란다"며 따뜻한 인사를 건넸습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1/04/30/AKR20210430132000104_07_i.jpg)
![](http://img.yna.co.kr/etc/inner/KR/2021/04/30/AKR20210430132000104_08_i.jpg)
구호품은 인도네시아의 민주평통과 한인회, 자유총연맹이 마련했습니다.
한인 단체들은 판자촌뿐만 아니라 아프가니스탄 난민들이 모여 사는 난민촌, 나환자촌, 수녀원, 유치원 등 8곳에 라면 총 550박스, 마스크 3만장, 티셔츠 900장을 선물했습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1/04/30/AKR20210430132000104_09_i.jpg)
noano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