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밀한 기능으로 주행 안전성 높여…빛 간섭 최소화하는 격벽 구조
(서울=연합뉴스) 김영신 기자 = 삼성전자[005930]는 첨단 발광다이오드(LED) 기술을 집약한 차량용 LED 모듈 제품 'PixCell LED'를 출시하고 전기자동차, 자율주행차 등에 활용하는 지능형 헤드램프(ADB·Adaptive Driving Beam) 시장 공략에 나선다고 15일 밝혔다.

삼성전자 PixCell LED는 정교한 지능형 헤드램프 기능을 갖춰 전방에서 운행하는 차량이나 반대 차선에서 마주 오는 차량의 주행 상황에 맞춰 정밀하게 헤드램프를 제어할 수 있다.
100여개의 세그먼트(Segment·1개의 LED 칩에서 개별적으로 구동되는 발광 소자 최소 단위)로 구성됐으며, 각 세그먼트 격벽 구조 적용으로 세그먼트 사이의 빛 간섭을 최소화해 기존 LED보다 3배 향상된 300:1 명암비를 구현했다.
또한 100개 이상의 세그먼트를 하나의 LED 칩으로 집적해 발광면적을 일반 지능형 헤드램프용 LED 모듈 대비 16분의 1 수준으로 줄이면서도 헤드램프에 필요한 밝기를 확보했다.

이를 통해 PixCell LED를 사용하면 광학시스템과 방열 구조 등을 단순하게 설계할 수 있어 헤드램프의 크기를 30∼50%까지 줄일 수 있다.
아울러 PixCell LED를 기반으로 설계된 헤드램프는 소프트웨어를 통해 국가별 다양한 도로 법규에 맞게 광원을 조정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헤드램프 제작사는 개발·생산·유통 등 전반적인 과정을 단축할 수 있다.
삼성전자 LED사업팀 김언수 전무는 "미래 자동차에 걸맞은 고품질 차량용 광원 솔루션을 제공하기 위해 혁신을 이어 가겠다"고 말했다.
shin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