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55.91

  • 48.76
  • 1.95%
코스닥

678.19

  • 16.20
  • 2.33%
1/3

"한부모 가구 아이, 학습시간 관리능력은 낮지만 집중력은 높다"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한부모 가구 아이, 학습시간 관리능력은 낮지만 집중력은 높다"
KDI 김인경 연구위원 분석



(세종=연합뉴스) 박용주 기자 = 미혼자녀가 있는 가구 가운데 한부모 가구의 비율이 20%에 달하는 가운데 한부모 가구의 아이가 한부모가 될 가능성이 상당한 양부모 슬하에서 성장할 때와 비교해 학업시간 관리 능력에서는 떨어지는 반면 집중력은 높게 나타난 연구 결과가 나왔다.
한부모 가구란 어머니(아버지)가 자녀와 함께 거주하며 미혼이거나, 배우자와 사별·이혼했거나, 배우자가 가정불화로 가출했거나, 군 복무 또는 복역, 유기 등의 사유를 가진 가구다. 한부모 가구 비율은 미혼자녀를 둔 가구와 조손가구 중 한부모 가구가 차지하는 비중이다.
김인경 한국개발연구원(KDI) 연구위원은 13일 '양부모가족에서 한부모가족으로 가족 유형 변화와 아동의 발달' 보고서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보고서에 따르면 한부모 가구 비율은 2010년 15.9%에서 2018년 19.9%로 증가했다.


연구자는 양부모 가족에서 한부모 가족으로의 변화가 아이의 건강과 학습습관, 정서, 자아존중감, 삶의 만족도 등 9가지 아동 발달 사항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했다.
양부모 가족에서 한부모 가족으로 이동한 아동은 한부모 가족이 될 가능성이 상당한 양부모 가족의 아동과 비교해 학업시간 관리 역량이 8.5% 부족했다.
학업시간 관리 역량은 '몇 시간 동안 얼마나 공부할 것인지 목표를 분명히 한 다음에 공부를 시작한다', '시험 전에 계획을 세우고 그에 따라 공부한다' 등 문항으로 구성된다.
부모의 일·가사 부담과 정보 부족 등으로 아이의 학습 역량이 떨어질 수 있음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비교집단인 한부모 가족이 될 가능성이 상당한 양부모 가족은 아동의 연령과 가구소득, 형제·자매 수 등을 토대로 가상으로 추출했다.
반면 한부모 가구 아이의 주의·집중력은 14.4% 높았다. 부모 간 갈등에서 벗어나면서 나타나는 변화로 연구자는 해석했다.
이외 건강과 자아인식, 삶의 만족도 등 다른 부분에선 별다른 긍정·부정적 효과가 관측되지 않았다.

김인경 연구위원은 이런 연구결과를 토대로 "통상의 우려와 달리 한부모 가족으로 가족 유형 변화가 아동 발달상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측면도 있다"면서 "다만 학습에 미치는 부정적 영향을 완화하기 위해 정책적 개입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김 연구위원은 "한부모 가족의 보호자가 부모 역할에 시간을 할애할 수 있도록 기사 지원 서비스를 확대하고, 개별 아동의 학습에 지장을 주는 양육환경의 개선을 위해 학교가 중심이 돼 가정과 지역사회의 연계를 담당할 필요가 있다"고 설명했다.
speed@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