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이버 검색 지수 '0'으로 추락…구글 국내·글로벌도 비슷
개인정보 탈취 시도도 늘어…BM 내놓았지만, 인수 논의 난항
![](http://img.yna.co.kr/photo/cms/2021/02/22/44/PCM20210222000044990_P2.jpg)
(서울=연합뉴스) 이효석 기자 = '신드롬'에 가까운 반응을 자아내며 혜성처럼 등장했던 오디오 소셜미디어(SNS) '클럽하우스'가 약 두 달 만에 이용자들의 외면을 받고 있다.
12일 IT업계에 따르면, 클럽하우스는 3월 이후로 국내 활성 이용자(Active Users)가 대폭 줄어든 상태다.
클럽하우스는 지인이 가입해있거나 초대장을 보내줘야 하는 폐쇄형 오디오 SNS로 올해 1월 말∼2월 초에 큰 화제를 모았다.
아이폰·아이패드 등 iOS용 앱만 있었는데도 대화방마다 최소 수십명이 모여 활발히 대화를 나눴고, 기업 대표나 연예인 등 저명인사가 있는 방은 1천명을 가뿐히 넘기기도 했다.
그러나 네이버·구글 검색어 트렌드 등으로 클럽하우스의 화제 정도를 확인해보니 클럽하우스는 단 두 달 만에 '아무도 찾지 않는 앱' 수준으로 추락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1/04/11/AKR20210411039000017_01_i.jpg)
네이버 트렌드로 보면 클럽하우스의 네이버 검색 지수는 2월 1일에 '1'에서 같은 달 8일 최대치인 '100'으로 치솟았다가 다시 며칠 만에 급락했다.
지수는 2월 말까지 서서히 낮아져 3∼4까지 감소했다가, 3월에는 1∼2 수준을 유지하더니 4월 초부터는 0을 찍고 있다.
구글 트렌드에서는 국내 클럽하우스 검색 지수가 2월 12일에 100을 찍었다가 서서히 감소해 최근에는 2∼6 수준을 보이는 중이다.
네이버보다는 검색량이 있는 것으로 추정되나 사실상 미미하다.
전 세계를 대상으로 데이터를 추려도 그래프에 큰 차이가 없었다.
2월 초·중순 '반짝인기'를 누린 후에 '비(非)인기 앱'으로 전락한 모습이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1/04/11/AKR20210411039000017_02_i.jpg)
전문가들은 클럽하우스가 iOS용만 있고 아직도 안드로이드용 앱을 내놓지 않은 것이 인기 하락의 기본적인 이유라고 입을 모은다.
그러나 SNS 전문가들은 클럽하우스가 'Z세대'(Gen Z·Generation Z)를 잡지 못한 것이 부진 요인의 핵심이라고 말한다.
한 IT기업 관계자는 "클럽하우스는 청소년 이용 불가 앱이라고 하면서 미성년자의 가입을 엄격하게 차단하지도 않았다"며 "SNS는 10대가 주로 이용하는데 공론장을 만들려고 성인만 받으니 정체성이 모호한 앱이 됐다"고 지적했다.
이 관계자는 "10대가 없으니 재기발랄한 콘텐츠 대신 30∼50대가 주도하는 토론만 반복됐고, 20∼30대인 '밀레니얼' 세대까지 염증을 느껴 떠났다"며 "젊은 층을 잡을 다른 콘텐츠라도 개발해야 했는데 운영진이 한 게 없었다"고 덧붙였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1/04/11/AKR20210411039000017_03_i.jpg)
업계에서는 클럽하우스가 초기 스타트업 수준인 사세에 맞지 않게 세계적인 관심을 받다 보니 하늘이 내린 기회를 놓쳤다고 안타까워하는 분위기다.
클럽하우스를 운영하는 미국 스타트업 '알파 익스플로레이션'은 올해 초까지 10명도 채 되지 않는 인력으로 서버 증설에만 급급했던 것으로 전해졌다.
사측이 이용자를 받아내기 바쁜 사이에 전 세계 다운로드 건수는 지난달 말 1천300만회를 돌파했고, 최근에는 이런 개인정보를 노리는 세력이 등장했다.
사이버보안 전문 외신 사이버뉴스는 클럽하우스 이용자 130만명의 개인정보가 담긴 데이터베이스(DB)가 해커 포럼에 유출됐다고 전날 보도했다.
이용자들 이름, 사진, 트위터·인스타그램 계정 등 클럽하우스 안에 공개돼있는 정보를 긁어서 뿌린 것이다.
한 스타트업 관계자는 "정중한 토론을 가능하게 하려고 실명을 기반으로 하는 콘셉트를 잡다 보니 개인정보 유출 우려에 봉착한 것"이라며 "페이스북·링크드인 등 실명 기반 플랫폼을 향한 공격이 늘어나고 있다"고 말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1/04/11/AKR20210411039000017_04_i.jpg)
위기에 처한 클럽하우스 측은 부랴부랴 수익 모델(BM)을 내놓았다. 이달 5일 공식 블로그를 통해 '페이먼트' 기능을 출시한다고 발표했다.
대화를 잘 이끄는 방장(모더레이터)의 계좌로 바로 현금을 보낼 수 있는 기능이다.
유튜브 '슈퍼챗' 등 라이브 방송 플랫폼의 기부 시스템과 비슷한데 현금성이 더 강하다. 클럽하우스는 핀테크업체 스트라이프(Stripe)와 제휴해 아예 간편 송금의 모양새를 갖췄다.
그러면서 클럽하우스 창업자들은 더 큰 플랫폼에 서비스를 넘기는 방안도 고려하는 분위기다.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트위터가 클럽하우스를 40억달러(약 4조5천140억원)에 인수하는 방안을 협상하다가 모종의 이유로 중단했다.
클럽하우스가 잠깐이나마 오디오 SNS의 잠재력을 입증하자 트위터·페이스북·링크드인·텔레그램·슬랙 등 거대 SNS·메신저 기업들은 유사 서비스 개발에 착수한 상태다.
hy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