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종=연합뉴스) 윤종석 기자 = 세종시 행정중심복합도시와 충청권의 상생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행복도시 광역계획권'이 대폭 확대된다.
행복도시 광역계획권은 행복도시와 인접지역 간 공간구조·기능 연계와 환경 보전, 광역시설의 체계적 정비를 위해 마련된 도시계획 체계다.
국토교통부와 행정중심복합도시건설청은 6일 제55차 '행복도시건설추진위원회'를 열어 행복도시 광역계획권 변경안을 심의·의결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1/04/06/AKR20210406058800003_01_i.jpg)
새로운 행복도시 광역계획권은 도시·산업 기능 연계 방안 등을 고려해 기존 행복도시권과 중첩된 대전·청주·공주역세권을 포함하고, 행복도시와 연계 발전이 가능한 일부 시·군을 추가했다.
이로써 행복도시 광역계획권은 기존 9개 시·군(3천597㎢)에서 22개 시·군(1만2천193㎢)으로 확대된다.
행복도시 광역계획권은 2006년 처음 지정됐으나 세종특별자치시 출범 등 정책여건 변화를 반영할 필요성이 제기돼 왔다.
이를 통해 광역계획권 간 중첩 문제가 해소되고 행복도시권역의 효율성과 실효성을 제고하는 등 충청권 상생발전의 토대가 마련됐다고 국토부는 자평했다.
행복청은 이달 중 행복도시 광역계획권 변경안의 관보 고시가 마무리되면 연말까지 공청회, 행복도시건설추진위원회 심의 등을 거쳐 행복도시권 광역도시계획을 수립할 계획이다.
banan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