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차 vs 하이브리드 '사치세' 차이 벌리도록 규정 개정
(자카르타=연합뉴스) 성혜미 특파원 = 인도네시아에 완성차 공장을 짓고 있는 현대자동차가 현지에서 전기차를 생산하기 위한 '숙제'를 하나 풀었다.
인도네시아 경제조정부는 현대차가 관심을 두고 있는 전기차와 도요타 등 일본업체들이 생산하려는 하이브리드의 개별소비세(사치세) 차이를 벌리도록 정부 규정을 개정했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1/02/12/AKR20210212022400104_04_i.jpg)
12일 인도네시아 경제조정부가 전날 배포한 보도자료에 따르면 올해 10월부터 시행하는 전기차(BEV)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 하이브리드(HEV) 개별소비세 규정이 변경됐다.
당초 규정은 전기차,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의 개별소비세가 판매가 대비 0%로 동일하고, 하이브리드는 배기량에 따라 2∼8%였다.
하지만, 각각 0%, 5%, 6∼8%로 격차를 늘리고, 전기차가 실제 생산되는 시점에는 0%, 8%, 10∼12%로 차이를 더 벌리기로 바꿨다.
하이브리드는 내연 엔진과 전기자동차 배터리 엔진을 동시에 장착한 자동차이고,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는 전기차와 하이브리드의 중간 단계로 보면 된다.
인도네시아 정부의 이번 조치로 현대차가 현지에서 전기차를 생산할 가능성이 커졌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1/02/12/AKR20210212022400104_05_i.jpg)
현대차는 올 연말 자카르타 외곽 브카시에 완성차 공장을 완성하면 내연기관차부터 생산하기로 돼 있다.
현대차는 인도네시아에 진출할 때부터 현지 정부의 적극적인 요청에 따라 전기차 생산 방안을 두고 '밀당'을 벌여왔다.
인도네시아는 니켈과 코발트, 망간 등 전기차 배터리 물질 생산국으로서 2030년에 '전기차 산업 허브'가 된다는 목표를 세우고 전기차와 배터리 사업 육성을 전방위로 추진 중이다.
현대차는 인도네시아에서 전기차를 생산하려면 하이브리드류와 개별소비세율 차이가 전제돼야 한다고 봤다.
이 때문에 현지 정부에 개정을 요구했고, 대사관도 이를 위해 적극적으로 나섰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1/02/12/AKR20210212022400104_02_i.jpg)
인도네시아 자동차 시장은 도요타, 다이하쓰, 혼다, 미쓰비시, 스즈키 등 5개 일본 자동차 업체가 85% 이상을 쥐고 있으며 이들은 하이브리드부터 생산한다는 계획이다.
인도네시아의 이번 개정은 하이브리드뿐만 아니라 '진짜 전기차' 산업의 선두주자가 되겠다는 강한 의지를 표명한 것으로 풀이됐다.
앞으로 현대차가 전기차를 생산하려면 인도네시아의 '현지화율' 조건 충족 등 숙제가 남아있다.
인도네시아 정부의 전기차 개별소비세율 규정을 적용받으려면 현지 생산이 인정돼야 하는데 이를 위해서는 조립생산 대비 충족해야 할 조건이 까다롭다.
인도네시아 자동차 시장을 석권해온 일본 업체들의 견제와 반격도 만만찮은 상황이다.
noano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