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손가락 경례와 빨간 리본, 민중가요…퍼지는 反쿠데타 상징들
유혈 탄압 경험 속 핸드폰·발코니 시위로 '비폭력 불복종'
(자카르타=연합뉴스) 성혜미 특파원 = 세 번째 쿠데타를 경험 중인 미얀마 시민들은 핸드폰으로 SNS에 접속해 '온라인 시위'를 벌이고, 발코니에서 냄비를 두드리며 저항을 표현했다.
5일 미얀마타임스 등에 따르면 미얀마 시민들은 1962년과 1988년 두 차례 쿠데타 당시 총칼로 유혈 탄압을 당했던 경험을 바탕으로 이달 1일 발생한 쿠데타에 비폭력 불복종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다.
시민들은 쿠데타 발표 뒤 페이스북, 트위터, 인스타그램에 세이브 미얀마(#SaveMyanmar), 미얀마는 민주주의를 원한다(#Myanmar_wants_Democracy) 등의 해시태그를 단 게시물을 퍼트리며 도움을 호소했다.
이들은 미얀마의 목소리를 들어달라(#HearTheVoiceOfMyanmar), 선거 결과를 존중해달라(#RespectOurVotes), 시민불복종운동(#CivilDisobedienceMovement) 등의 해시태그를 매일 늘려가는 중이다.
미얀마 시민들은 쿠데타 반대를 상징하기 위해 세 손가락 경례와 빨간 리본을 선택했다.
세 손가락 경례는 2012년 영화 '헝거 게임: 판엠의 불꽃'에 등장한 표현으로, 네티즌들은 세 손가락이 선거, 민주주의, 자유를 뜻한다고 풀이한다.
미얀마 시민들은 세 손가락 경례 사진이나 그림을 SNS에 퍼트리고 있다.
이어 빨간 리본 사진·그림도 확산 중이다.
아웅산 수치 고문이 이끄는 민주주의민족동맹(NLD) 당의 상징색이 빨간색이기에 그들에 대해 지지를 표현하기 위해서다.
아울러 1977년 발표된 팝송 '바람 속의 티끌'(Dust In the Wind)을 미얀마어로 개사한 민중가요 'Kabar Makyay Bu'(우리는 세상이 끝날 때까지 만족하지 않을 것)를 부르는 동영상을 속속 올렸다.
이 노래는 1988년 쿠데타 당시에도 많은 시민이 불렀다.
시민들은 이 노래를 부르면서 촛불시위를 열거나 핸드폰 불빛을 촛불처럼 켜고 밤거리를 행진하기도 했다.
아파트 단지 각자의 집 발코니에서 큰 목소리로 이 노래를 합창하는 동영상도 올라왔다.
시민들은 발코니에서 냄비와 깡통을 두드리며 소음을 만들고, "민주주의"를 외치는 등 적극적으로 의사를 표현했다.
소음을 만드는 행위는 미얀마에서 악마를 쫓아내는 것과 같다.
'발코니 시위'는 집이라는 안정감을 주면서도 이웃 사람들과 한목소리를 낼 수 있기에 인기를 끌었다.
일부 시민들은 발코니 시위에 머물지 않고 대낮에 거리로 나서 시위를 벌이기도 했다.
4일 최대도시 양곤과 제2 도시 만달레이에서는 소규모지만 쿠데타 발발 이후 처음으로 거리에서 항의 시위가 벌어졌으며, 현재까지 유혈 충돌 소식은 전해지지 않았다.
noano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