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수자 못찾은 소유주, 트럼프 지지자들 충성심 활용 돈벌이?
![](http://img.yna.co.kr/etc/inner/KR/2020/12/10/AKR20201210001800072_01_i.jpg)
(뉴욕=연합뉴스) 강건택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뉴욕 생가를 퇴임 선물로 돌려주자는 모금 캠페인이 시작됐다.
이 캠페인은 중국계 여성으로 추정되는 현 소유주가 직접 제안한 것이어서 트럼프 대통령이 물러나기 전까지 열혈 지지자들의 '충성심'을 이용해 한몫 챙기려는 속셈이라는 지적도 나온다.
9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이 네 살 때까지 살았던 뉴욕시 퀸스 저택의 현 소유주는 전날부터 모금사이트 고펀드미를 통해 300만달러(약 32억6천만원)의 크라우드펀딩 캠페인을 시작했다.
목표 금액을 채우면 임기 종료를 앞둔 트럼프 대통령에게 이 집을 선물로 돌려주겠다는 계획이다.
제안자는 이 사이트에 "트럼프를 사랑하는가? 유년 시절의 집을 사주는 이 캠페인에 기부함으로써 트럼프 대통령에게 감사의 뜻을 표하라"라고 적었다.
그는 300만달러 목표 금액을 초과한 모금액에 대해서는 절반을 자선단체에 기부하겠다고 밝혔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0/12/10/AKR20201210001800072_02_i.jpg)
이러한 캠페인은 트럼프 대통령 지지자들의 헌신을 활용해 지갑을 열게 만들려는 목적이라고 NYT는 분석했다.
트럼프 대통령 당선 이후 투기자들이 달라붙으면서 가격이 뻥튀기된 이 집의 현 소유주는 매수자를 찾는 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지난 2008년까지만 해도 78만2천500달러에 거래됐던 트럼프 대통령 생가는 2017년 1월 취임식 한달 전 140만달러에 팔렸고, 취임식 직후 경매를 통해 214만달러에 매각됐다. 주변 지역의 비슷한 주택과 비교할 때 두 배 이상 높은 가격이다.
이 집의 현 소유주는 '트럼프 생가(Trump Birth House)'라는 이름의 유한회사로, NYT는 당시 거래를 잘 아는 소식통을 인용해 중국 출신의 여성이 실소유주라고 보도했다.
'트럼프 생가'는 이 집을 숙박공유업체 에어비엔비를 통해 하룻밤 815달러에 내놔 화제를 모은 적도 있다.
이 집은 지난해 가을 다시 경매에 부쳐졌으나 최저 경매가 이상을 부른 입찰자가 한 명도 없어서 새 주인을 찾지 못했다.
뉴욕시 퀸스 자메이카 이스테이츠에 위치한 트럼프 대통령의 생가는 부친 프레드가 1940년에 직접 지은 2층짜리 주택 건물로 방이 5개다.
firstcircl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