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역협회 보고서…차세대반도체, 전기·자율차가 선도
![](http://img.yna.co.kr/photo/cms/2017/04/09/01/C0A8CA3C0000015B513B54B10016C6EC_P2.jpeg)
(서울=연합뉴스) 윤보람 기자 = 2008년 금융위기 이후 한국의 5대 유망 신산업 수출이 주요국 중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무역협회 국제무역통상연구원이 28일 발표한 '5대 신산업의 수출경쟁력 국제비교 및 국민경제기여 효과' 보고서에 따르면 차세대반도체, 프리미엄 소비재, 바이오헬스, 전기·자율차, 항공·드론 등 우리나라 5대 신산업 수출액은 2008년 254억달러에서 2019년 593억달러로 증가했다.
연평균 7.2%의 성장률을 보인 것으로 미국, 중국, 독일, 일본 등 주요국 가운데 가장 높은 수준이다.
작년에는 한국의 전체 수출이 전년 대비 10% 이상 감소하는 상황에서도 5대 신산업 수출은 오히려 2.4% 늘어 경제성장에 기여했다.
성장률 2.4%는 신산업의 세계(1.1%) 및 주요국 평균(1.3%) 수출 증가율을 모두 웃도는 수치다.
보고서는 특정 상품의 세계 시장에서의 양적인 비교우위를 판단할 때 쓰이는 '무역특화지수'와 특정 품목의 자국 내 여타 품목 대비 질적인 비교우위를 보여주는 '현시비교우위지수'를 이용해 신성장 산업별 경쟁력을 비교했다.
그 결과 우리나라는 차세대반도체와 전기·자율차 부문에서 주요국 중 가장 높은 경쟁력을 보였다.
한국의 차세대 반도체는 지난해 무역특화지수 1위, 현시비교우위 1위, 수출점유율 3위에 올랐고 전기·자율차는 무역특화지수 2위, 현시비교우위 1위, 수출점유율 3위를 차지했다.
바이오헬스, 항공·드론, 프리미엄 소비재도 수출경쟁력이 꾸준한 개선 흐름을 보였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0/10/28/AKR20201028089400003_01_i.jpg)
5대 신성장 산업의 수출은 경제성장 및 고용유발 등 경제 기여 효과가 큰 것으로 분석됐다.
우리나라 총수출의 경제성장 기여율은 2018년 -14.4%, 2019년 -21.4%로 2년 연속 마이너스(-)를 보인 반면 5대 신산업 수출은 2018년 2.9%, 2019년 17.0%로 플러스 기여율을 기록했다.
2019년 기준으로 우리나라 경제성장률 2.0% 중 5대 신산업 수출이 기여한 정도는 0.3%포인트(p)다.
품목별로는 차세대반도체 0.18%포인트, 프리미엄 소비재 0.07%포인트, 전기·자율차 0.07%포인트 등이었다.
고용 측면에서도 지난해 신산업의 수출 100만달러당 취업유발인원이 7.5명으로 총수출의 취업유발인원(6.8명)을 앞섰다.
작년 한 해 신산업 수출로 유발된 부가가치는 총 418억달러로, 차세대반도체(181억 달러)와 프리미엄 소비재(164억 달러) 2개 품목이 절반 이상을 차지했다.
수출로 경제 전체에 직·간접적으로 유발된 부가가치의 총수출 대비 비중을 나타내는 '수출 부가가치율' 역시 신산업은 2017년 69.8%에서 2019년 70.5%로 0.7%포인트 상승했다.
같은 기간 총수출의 수출 부가가치율은 64.2%에서 62.7%로 1.5%포인트 하락했다.
강내영 무역협회 수석연구원은 "세계교역 성장 둔화로 인해 총수출의 경제성장 기여가 낮아진 상황에서도 5대 신산업이 경제성장을 견인하고 있다"면서 "4차 산업혁명과 연관성이 큰 첨단 신산업에서 새로운 성장 동력을 발굴해야 한다"고 말했다.
bryoo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