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硏 "국내은행 대손비용 증가율, 해외은행 절반으로 양호"
"양호한 거시환경 덕분…부실 현실화에 대비해야"
(서울=연합뉴스) 성서호 기자 = 올해 상반기 국내 은행의 대출채권 부실에 대비한 대손충당금 증가율이 해외 주요 은행의 절반 수준으로, 아직은 양호하다는 평가가 나왔다.
적절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방역과 양호한 거시 환경 덕분인데, 향후 잠재적 부실이 현실화할 때를 대비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25일 한국금융연구원에 따르면 권흥진 연구위원은 정기 간행물 '금융 브리프'에서 코로나19 전후 국내외 주요 은행의 대손비용 추이와 시사점을 이렇게 설명했다.
권 연구위원은 세계 주요 100대 은행 가운데 투자은행, 특수은행 등을 제외한 70곳과 KB국민·신한·하나·우리·NH농협·기업은행 등 국내 은행 6곳의 영업보고서를 분석했다.
해외 주요 은행의 올해 상반기 평균 대손충당금 전입액은 36억4천870만달러로, 작년 상반기 평균(16억130만달러)보다 127.9% 증가했다.
이 가운데 한국과 비슷한 IFRS 회계기준을 쓰는 국가가 다수 포함된 유럽 소재 은행의 대손충당금은 같은 기간 234.5% 늘었다.
반면 한국은 3억2천130만달러에서 5억30만달러로, 55.7%만 늘었다.
IFRS 회계기준에서 대손충당금은 거시 전망 등이 악화해 전반적인 대출채권의 기대 신용손실이 커지거나 연체 등으로 중대한 신용위험이 인식된 경우, 손상된 대출채권 비중이 커질 때 늘어난다.
권 연구위원은 "국내 은행 6곳의 대손충당금 증가율이 낮은 것은 해외 주요국보다 코로나19 대응 상황과 거시환경이 양호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만기 연장 및 이자 상환 유예 등 코로나19 피해 중소기업·소상공인 대출에 대한 자산건전성 분류 유지, 재난지원금과 고용 유지 지원금 등의 효과로 은행권의 자산건전성이 표면상으로는 악화하지 않고 있다"고 부연했다.
그는 "국내 은행은 코로나19에 따른 경기침체가 길어지거나 내년 3월 대출 만기 연장, 이자 상환 유예 조치가 끝나면 잠재 부실이 본격적으로 현실화할 수 있다"며 "이런 위험을 주시하고 자본 완충력을 충분히 확보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soh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