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34.34

  • 33.10
  • 1.32%
코스닥

696.83

  • 19.82
  • 2.93%
1/3

긴 장마에 물가 반년만에 1%대 올라…집세도 26개월만에 최대↑(종합2보)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긴 장마에 물가 반년만에 1%대 올라…집세도 26개월만에 최대↑(종합2보)
9월 소비자물가상승률 1.0%…채소류 34.7% 급등하며 농산물 가격 19.0% 올려
전세는 1년7개월만에, 월세는 3년10개월만에 최대폭



(세종=연합뉴스) 이보배 곽민서 정수연 기자 =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6개월 만에 1%대로 올라섰다.
최장기간에 걸친 장마와 태풍 영향으로 농축수산물 가격이 근 10년 만에 가장 많이 오른 여파다.
통계청은 9월 소비자물가지수가 106.20(2015년=100)으로 지난해 같은 달 대비 1.0% 상승했다고 6일 밝혔다.
지난 3월(1.0%) 이후 가장 높은 상승률로, 6개월 만에 1%대 복귀를 의미한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1∼3월 1%대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여파로 4월 0.1%, 5월 -0.3%로 내려갔다가 6월을 기점으로 반등하고 있다. 6월 0.0% 이후 7월에 0.3%, 8월에 0.7%를 기록한 바 있다.
다만 코로나19 사태 여파에 외식이 줄어든 데다 저유가·고1 무상교육 조기 시행 등 영향을 받아 저물가 기조는 이어지고 있다.
안형준 통계청 경제동향통계심의관은 "긴 장마에 농산물 가격이 상승했으나 낮은 국제유가와 교육분야 정책지원 강화에 저물가 현상은 계속되고 있다"며 "현재 채소류 가격이 높지만 9월 이후 날씨가 좋아 10월 말께에는 안정될 수도 있다"고 말했다.


품목별로 보면 상품은 한 해 전보다 1.5% 올랐다.
특히 농축수산물이 13.5% 오르며 2011년 3월(14.6%) 이후 9년 6개월 만에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채소류가 34.7% 급등하면서 농산물이 19.0% 오른 영향이 컸다. 배추(67.3%), 무(89.8%), 사과(21.8%) 등이 상승폭을 끌어올렸다.
채소류 생육기간이 70~80일이라는 점을 감안하면 9월 장마·태풍 이후 재배된 배추와 무는 본격적인 김장철 직전인 11월 초께에 출하될 수 있을 전망이다.
축산물(7.3%)도 많이 올랐고 수산물 물가 상승률은 6.0%를 나타냈다.
반대로 저유가 기조가 이어지면서 공업제품은 0.7% 내렸다. 석유류는 12.0% 급락했고 가공식품은 1.2%로 소폭 상승했다.
전기·수도·가스는 4.1% 하락했다.
코로나19에 외식 등 서비스를 소비하려는 수요가 줄어들며 서비스는 0.5% 오르는 데 그쳤다.
서비스 가운데 개인서비스는 전년 동월 대비 1.3% 올랐다. 외식이 1.0%, 외식 외가 1.5% 각각 상승했다.
주거 비용 부담은 커졌다.
집세는 0.4% 올라 2018년 8월(0.5%) 이후 가장 많이 상승했다. 전세(0.5%)는 2019년 2월(0.6%) 이후 1년 7개월 만에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고, 월세(0.3%)는 2016년 11월(0.4%) 이후 3년 10개월 만에 가장 많이 올랐다.
고교 납입금 지원 강화에 공공서비스는 전년 동월 대비 1.4% 내렸다.
지출목적별로 보면 코로나19에 '집밥' 수요가 늘며 식료품·비주류음료(8.3%)가 2011년 8월(11.2%) 이후 가장 많이 올랐다. 반대로 주류·담배는 -0.2% 내리며 2002년 8월(-0.3%) 이후 가장 많이 떨어졌다.

계절 요인이나 일시적 충격에 따른 물가 변동분을 제외하고 장기적인 추세를 파악하기 위해 작성한 '농산물 및 석유류 제외지수'(근원물가)는 1년 전보다 0.9% 올랐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 및 에너지제외지수'는 0.6% 상승했다.
어류·조개·채소·과실 등 기상 조건에 따라 가격 변동이 큰 50개 품목을 기준으로 산정하는 '신선식품지수'는 21.5% 상승했다. 특히 신선채소가 34.9% 올랐다. 신선식품지수 상승 폭은 2011년 2월(21.6%) 이후 최대다.
안 심의관은 "9월에 국제유가가 하락했고 이는 한 달 정도 시차를 두고 국내 물가에 반영될 것"이라며 "정부의 통신비 지원도 서비스 물가를 내릴 요인이 된다"고 말했다.
기재부는 "향후 코로나19 전개 양상과 가을 태풍 등 기후 여건이 주요 변수로 작용할 것"이라면서 "농산물 가격 상승이 밥상물가 부담 가중으로 이어지지 않도록 필요시 비축물량 방출 등 수급 불안 방지에 정책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고 밝혔다.

bobae@yna.co.kr
js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