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속 방미 최종건 외교차관, 비건 만나 '동맹대화' 신설 합의(종합)
취임 한달도 안돼 방미…"한미동맹은 한반도 평화의 핵심축" 공감
워킹그룹과 별도로 기지이전 등 다루는 국장급 협의체 …방위비도 차관간 소통 강화
남북·북미 대화 조속한 재개 긴밀 협의키로…미, G7 정상회의 초청의사 재확인
(워싱턴=연합뉴스) 류지복 특파원 = 한미 외교당국은 10일(현지시간) 협력과 소통을 강화하기 위해 국장급 실무협의체인 가칭' 동맹대화'를 신설하기로 했다.
또 한미 방위비 분담금 협상이 1년 넘게 진전이 없는 상황을 감안해 외교 차관 간에도 긴밀히 소통하기로 했다.
방미 중인 최종건 외교부 1차관은 이날 스티븐 비건 국무부 부장관과 한미 외교차관 회담을 하고 한미관계 전반과 한반도 문제, 지역 정세 등 상호 관심사를 논의했다.
지난달 18일 취임한 최 차관은 지난 2일 외국 카운터파트 중 처음으로 비건 부장관과 통화했다. 또 통화 이튿날부터 일정을 조율해 불과 취임 20일이 조금 지난 시점인 지난 9일 초고속으로 미국까지 방문했다.
북미 비핵화 협상 교착, 남북관계 경색 와중에 미중간 갈등까지 고조되는 상황에서 그만큼 한미 동맹을 중시하고 양국간 긴밀한 조율과 공조, 소통을 우선순위에 두고 있다는 인식을 내비친 것으로 해석된다. 당초 60분으로 예상한 이날 회담은 130분가량 진행됐다.
최 차관이 회담에서 한국 방문을 초청했고, 비건 부장관은 수락했다. 비건 부장관은 지난 7월에도 한국을 방문했다.
최 차관은 회담 후 특파원 간담회에서 비건 부장관과 지난 70년간 한미 동맹이 한반도 및 동북아의 평화와 안정에 핵심축 역할을 해왔다고 평가하고, 한미 정상 간 굳건한 신뢰를 바탕으로 지속적 협력과 소통을 이어가자는 데 공감했다고 전했다.
최 차관은 "외교당국 간 국장급 실무협의체인 가칭 '동맹대화'를 신설하는 데 공감했다"며 "이 협의채널을 통해 다양한 동맹현안에 대해 상시적으로 공조해 나가기로 했다"고 밝혔다.
동맹대화는 남북협력사업의 제재 면제 등 대북정책 관련 현안을 논의하기 위해 꾸려진 한미워킹그룹과 별개의 협의체로서, 다루는 주제도 워킹그룹과는 상이한 것으로 알려졌다.
기존에도 장관, 차관 간 협의 채널이 있지만 중요한 정치 일정 등에 구애받지 않고 한미 간 현안을 지속적으로 논의할 수 있는 채널을 신설해 연속성을 살리고 내실을 기하자는 취지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국 내 산재한 미군 기지 이전 등이 주요 의제가 될 수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르면 다음달 중 첫 회의를 개최해 정례화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최 차관은 방위비 분담금 협상과 관련해 기존 한미방위비분담금특별협정(SMA) 틀 내에서 한미가 공평한 분담을 해야 한다는 정부 입장을 다시 한번 강조했다고 말했다.
또 "이 협상이 1년 가까이 진전이 없어서 앞으로 양국 협상 대표 간 의미있는 진전이 이뤄질 수 있도록 차관 간에도 긴밀히 소통하면서 상호 이견을 좁혀나가기로 의견을 모았다"고 전했다.
협상의 세부 논의는 방위비 협상 대표간에 진행하되 합의 지연에 따른 협상 대표의 부담을 덜고 차관끼리 정무적으로 해결할 부분은 해결할 수 있도록 노력하자는 취지로 해석된다.
양국 차관은 미국 대선 전후로 한반도 상황을 안정적으로 관리해나가야 한다는 점에 동의하고, 남북·북미 대화의 조속한 재개를 위해 외교당국이 긴밀히 협의해 나가기로 했다고 최 차관은 말했다.
최 차관은 비건 부장관이 한반도 평화프로세스 진전을 위해 끈기있게 노력하는 모습에 대해 사의를 표했고, 비건 부장관은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한국의 노력에 지지를 표하며 긴밀히 공조해 나가자고 한 것으로 전해졌다.
최 차관은 전날 백악관을 방문해 매슈 포틴저 국가안보회의(NSC) 부보좌관과 면담하고 한미관계와 한반도 문제 등을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
미측은 최 차관의 방미 기간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와 관련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사태로 회의가 불가피하게 연기됐지만 한국에 대한 초청 의사가 유효하다는 점을 재확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또 G7 확대 문제와 관련해서는 앞으로 계속 협의하기로 한 것으로 알려졌다.
올해 G7 정상회의 의장국인 미국의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올해 회의에 한국을 포함한 일부 국가를 초청하는 것은 물론 G7 회원국 자체를 늘리는 방안을 제시한 상황이다.
jbryoo@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