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장마에 취업자 27만명↓, 반년째 감소…"9월은 더 걱정"(종합2보)
사회적 거리두기 격상은 이번 지표에 반영 안돼
고용률 60.4%, 8월 기준 7년만에 최저…쉬었음·구직단념자 통계작성이래 최대
(세종=연합뉴스) 김연정 차지연 정수연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와 역대 최장기간 장마에 지난달 취업자가 또 줄어 6개월 연속 감소를 기록했다.
그런데 조사 시점 때문에 코로나19 재확산과 수도권 사회적 거리두기 단계 격상은 아직 반영되지도 않아서, 다음달 발표되는 9월 고용상황은 더욱 좋지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 8월 취업자 27.4만명↓…서비스업·제조업 모두 줄고 청년층 타격
통계청이 9일 발표한 고용동향에 따르면 8월 취업자는 2천708만5천명으로, 1년 전보다 27만4천명 감소했다.
지난 3월(-19만5천명), 4월(-47만6천명), 5월(-39만2천명), 6월(-35만2천명), 7월(-27만7천명)에 이어 6개월 연속 감소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 직후인 2009년 1∼8월에 8개월 연속 감소한 이후 11년 만에 최장 기간 감소 기록이다.
다만 감소폭은 4월 정점 이후 점차 축소하고 있다. 전월과 비교하는 계절조정 취업자로 보면 5월(15만3천명), 6월(7만9천명), 7월(7만2천명), 8월(11만4천명) 등 4개월째 늘었다.
서비스업과 제조업 취업자가 모두 감소했다.
서비스업은 도·소매업(-17만6천명), 숙박·음식점업(-16만9천명), 교육서비스업(-8만9천명) 등에서 많이 줄었다.
이중 코로나19 직격탄을 맞았던 숙박·음식점업은 감소폭이 7월(-22만5천명)보다 줄었으나 도·소매업은 7월(-12만7천명)보다 늘었다.
다만 3차 추가경정예산 재정일자리 사업 중 일부가 시행되면서 공공행정·국방 및 사회보장행정은 5만5천명 늘었다.
제조업은 5만명 줄었는데, 6월(-6만5천명)과 7월(-5만3천명)보다 감소폭은 축소했다.
긴 장마 영향으로 계속 늘고 있던 농림어업 취업자도 3천명 줄었다.
연령별로는 60세 이상(38만4천명)을 제외한 모든 연령에서 취업자가 줄었다.
30대(-23만명), 40대(-18만2천명), 20대(-13만9천명), 50대(-7만4천명) 순으로 감소폭이 컸다. 15∼29세 청년층 취업자는 17만2천명 감소했다.
청년들이 주로 취업하는 대면서비스업이 코로나19 영향을 많이 받은 여파인 것으로 분석된다.
임금근로자는 11만3천명 줄었는데, 임시근로자(-31만8천명), 일용근로자(-7만8천명)는 줄고 상용근로자(28만2천명)는 늘었다.
비임금근로자는 16만1천명 감소했다. 고용원 있는 자영업자(-17만2천명)와 무급가족종사자(-5만4천명)가 감소했고 고용원 없는 자영업자(6만6천명)는 늘었다.
통계상 취업자로 분류되는 일시휴직자는 14만3천명(20.3%) 늘어난 84만6천명으로 집계됐다.
◇ 고용률 60.4%, 실업률 3.1%…비경제활동인구 8월 기준 최대
취업자가 줄면서 15세 이상 고용률은 60.4%로 1년 전보다 1.0%포인트 하락했다. 8월 기준으로 2013년(60.2%) 이후 7년 만에 최저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비교 기준인 15∼64세 고용률은 65.9%로 1.1%포인트 하락했다. 역시 8월 기준으로 2013년(64.8%) 이후 7년 만에 최저다.
청년층(15∼29세) 고용률은 1.1%포인트 줄어든 42.9%를 기록했다.
실업자는 6천명 늘어난 86만4천명이었다. 실업자 증가폭은 5월(13만3천명), 6월(9만1천명), 7월(4만1천명)에 이어 줄어들었는데 통계청은 통상 하반기로 가면서 실업자가 줄어드는 계절적 요인 영향이 있다고 분석했다.
실업률은 0.1%포인트 오른 3.1%로, 8월 기준 2018년(4.0%) 이후 최고치다. 청년층 실업률은 0.5%포인트 오른 7.7%로 집계됐다.
체감실업률을 보여주는 고용보조지표3(확장실업률)은 1년 전보다 2.3%포인트 상승한 13.3%로, 같은 달 기준으로 2015년 작성 이후 최고치다. 청년층 고용보조지표3도 3.1%포인트 오른 24.9%로 역시 8월 기준 2015년 이후 가장 높았다.
경제활동인구는 2천794만9천명으로 26만7천명 줄었다. 6개월 연속 감소다.
비경제활동인구는 53만4천명 늘어난 1천686만4천명으로 통계 집계 기준을 변경한 1999년 이후 8월 기준으로는 최대치를 기록했다.
특히 비경제활동인구 중 '쉬었음'으로 분류된 사람은 246만2천명으로 8월 기준으로 2003년 통계 작성을 시작한 이래 가장 많았다. 증가폭(29만명)도 지난 5월(32만명) 이후 최대다.
구직단념자도 13만9천명 늘어난 68만2천명으로 8월 기준으로 2014년 통계 작성 이래 최대로 집계됐다.
◇ 거리두기 격상 이전에 조사…"9월엔 거리두기 강화 영향 반영될듯"
취업자 6개월째 감소와 고용률 하락, 실업자 증가, 실업률 상승 등 8월 고용지표에 대해 정동명 통계청 사회통계국장은 "코로나19의 영향이 가장 크고, 6월부터 8월까지 이어진 긴 장마도 영향을 미쳤다"고 설명했다.
8월 고용동향 조사는 지난달 9일부터 15일까지 진행됐다. 8월 후반부에 본격화한 코로나19 재확산과 이에 따른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 조치 영향은 이번 지표에 반영되지 않은 것이다.
정 국장은 "조사 기간이 8월 15일 광복절 집회 이후 재확산과는 시차가 있기에 직접적 영향은 받지 않은 것으로 본다"며 "다음달 고용동향에는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말했다.
올해 초 코로나19 확산 이후 계속 좋지 않았던 고용지표가 다음달 발표되는 9월 고용동향에서는 더욱 악화할 것이라는 우려는 기획재정부에서도 본격적으로 나온다.
홍남기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다음 달 발표될 9월 고용동향에는 전국적으로 '강화된 사회적 거리두기'의 영향이 상당 부분 반영될 것으로 예상된다"며 "자영업자, 임시일용직, 청년층 등의 어려운 고용여건이 지속되는 가운데 발생한 추가 충격의 여파를 생각하면 벌써 마음이 무겁다"고 말했다.
yjkim84@yna.co.kr, charg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