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내각 구성·개혁시행·경제재건 등 과제 산적
마크롱, 31일 방문 예정…개혁시행 압박 예정
![](http://img.yna.co.kr/photo/etc/af/2020/08/31/PAF20200831057801055_P2.jpg)
(서울·카이로=연합뉴스) 이영섭 기자 노재현 특파원 = 초대형 폭발참사에 분노한 민심에 밀려 내각이 총사퇴한 레바논에서 새 총리로 무스타파 아디브(48) 주독일 대사가 지명됐다.
미셸 아운 레바논 대통령은 31일(현지시간) 의회와 협의를 거쳐 아디브 대사를 새 총리로 지명했다고 레바논 언론 데일리스타가 보도했다.
아디브 대사는 이날 이슬람 시아파 무장정파 헤즈볼라의 지지를 얻었고 의회에서 재적 의원 128명 중 90명으로부터 찬성표를 받았다.
아디브 대사는 새 총리로 지명된 뒤 가능한 한 빨리 새로운 정부를 구성하겠다고 다짐했다.
그는 2013년부터 독일 주재 대사로 근무해왔으며 레바논 대중에게 많이 알려지지 않은 외교관이다.
레바논의 북부 항구도시 트리폴리에서 태어났고 이슬람 수니파 출신이다.
이슬람 수나파 및 시아파, 기독교 등 18개 종파가 복잡하게 얽혀있는 레바논은 명목상 대통령제(임기 6년의 단임제)이지만 사실상 총리가 실권을 쥐는 내각제에 가깝다.
특히 정파 간 권력 안배를 규정한 헌법에 따라 대통령은 마론파 기독교, 총리는 이슬람 수니파, 국회의장은 이슬람 시아파 출신이 각각 맡는 독특한 원칙을 유지하고 있다.
아디브 총리 지명자가 신속한 내각 구성을 공언했지만 새 정부 출범이 진통을 겪을 수 있다.
그동안 고위 직책을 누가 차지하는지를 두고 벌어지는 정파 갈등 때문에 통상 내각 구성에 수개월씩 걸렸다.
앞서 이달 10일 하산 디아브 총리가 이끌던 레바논 내각은 폭발 참사에 대한 책임으로 총사퇴를 발표했다.
![](http://img.yna.co.kr/photo/yna/YH/2020/08/07/PYH2020080712600034000_P2.jpg)
지난 4일 레바논 수도 베이루트 항구에서 큰 폭발이 일어나 현재까지 약 190명이 숨지고 6천여명이 다쳤다.
폭발로 인한 피해액은 약 150억 달러(약 17조8천억원)로 추정된다.
당국은 항구에 수년간 보관된 인화성 물질 질산암모늄 약 2천750t이 폭발한 것으로 보고 있다.
현재 레바논은 전 국민의 절반 이상이 빈곤선 아래에 있는 등 경제가 파탄이 난 실정이다.
오랫동안 사실상 권력을 세습해온 정파들의 무능과 부패가 이런 상황의 원인으로 지적되고 있다.
이 때문에 현 정치인들이 지목한 차기 총리 역시 디아브 전 총리와 별반 다르지 않을 것이라는 비판이 벌써 나오고 있다고 알자지라는 전했다.
![](http://img.yna.co.kr/photo/yna/YH/2020/08/07/PYH2020080700350034000_P2.jpg)
레바논의 새 총리 지명은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의 레바논 방문을 불과 수시간 앞두고 이뤄졌다.
마크롱 대통령은 31일 오후 레바논에 도착해 현지 당국자들에게 외국의 구제금융 등 원조를 받기 위해 선행돼야 할 개혁조치를 시행하도록 압박할 예정이다.
앞서 그는 폭발 참사가 발생한 지 며칠 만에 주요국 정상 중 처음으로 레바논을 찾았으며, 이후 레바논 지원을 위한 국제사회의 논의를 주도하고 있다.
레바논은 과거 프랑스의 식민지로 두 나라는 여전히 정치 경제적으로 밀접한 관계를 유지하고 있다.
youngle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