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에 위기감 높아진 개도국 국가 부채
(서울=연합뉴스) 경수현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를 맞아 악화된 개발도상국 부채 위기의 해법이 좀처럼 보이지 않고 있다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26일(현지시간) 보도했다.
코로나19 확산 이후 국제통화기금(IMF)이나 주요 20개국(G20) 등을 중심으로 대응 논의가 진행 중이지만 개도국 부채 구조에서 민간 금융 비중이 국제기구나 정부 차관 등에 비해 상대적으로 크게 높아진 상황이어서 해법을 찾기가 한층 더 어렵다는 것이다.
2000년대 초반 세계은행과 선진국을 중심으로 개도국이 부채의 함정에 빠지지 않도록 1천250억달러(약 150조원)의 부채를 탕감해줬지만 그 이후 민간 금융 시장이나 일대일로(一帶一路:육상·해상 실크로드)를 추진한 중국이 새로운 자금 조달원이 되면서 개도국 부채가 다시 늘었다.
특히 코로나19로 세계 경제가 어려워지고 적잖은 개도국의 수입원인 원자재의 가격이 하락하면서 위기감이 한층 더 높아졌다.
IMF에 따르면 대략 2000년 이후 외국통화 채권을 발행한 저소득 국가 24개국 중 최소 절반 이상이 부채 문제로 어려움에 빠져있거나 상당히 높은 위험 상황에 처해있다.
이와 관련해 지난 4월 G20은 개도국에 돈을 빌려준 민간 금융사들도 원리금 상환 유예에 올해 말까지 참여할 것을 촉구했지만 별 성과를 내지 못했다.
데이비드 맬패스 총재는 중국이나 민간 금융사에서 빌린 채무 때문에 저소득 개도국이 과거와는 다른 환경에 놓여있다고 지적하면서 "모든 채권자가 참여하고 무임승차하지 않는 게 중요하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에 세계 각국과 금융시장은 상당한 규모의 채권 만기가 2022년에 돌아오는 아프리카 국가 잠비아의 부채에 대한 채권자인 민간 투자자와 중국의 움직임 등을 주목하고 있다.
어쨌든 개도국 부채 위기는 코로나19를 계기로 훨씬 심각해졌다는 게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유명한 경제학자인 케네스 로고프 하버드대 교수는 최근 개도국의 국제기구 등에 대한 잇단 지원 요청을 지목하면서 "너무 많은 환자가 한꺼번에 병원에 오는 것 같다"고 말했다.
IMF에 따르면 지난 3월 이후 코로나19 대응을 위해 100여개국이 도움을 요청했다. 이에 따라 IMF가 약속한 2천500억달러 금융의 3분의 1이 최근 4개월간 승인됐을 정도다.
eva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