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42.51

  • 24.67
  • 1.02%
코스닥

675.92

  • 14.33
  • 2.17%
1/4

"대전·세종·수도권이 상반기 전국 아파트값 견인"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대전·세종·수도권이 상반기 전국 아파트값 견인"
매매·전세 모두 상승폭 상위…하반기는 단기간 숨고르기 전망



(서울=연합뉴스) 홍국기 기자 = 올해 상반기(1∼6월) 전국 아파트 시장은 대전·세종·수도권이 견인했다는 민간 시세조사업체 분석이 나왔다.
25일 부동산114에 따르면 상반기 전국 아파트 매매 가격은 평균 2.85% 올라 지난해 하반기(3.88%)보다 상승 폭이 다소 둔화했다.
지난해 투기적 대출 수요에 대한 규제 강화, 종합부동산세 세율 인상, 분양가상한제 확대 등의 내용을 담은 12·16 대책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등의 여파로 부동산 경기가 위축된 영향이다.
시도별로 아파트값은 대전(5.83%)이 최대 상승 폭을 기록했으며 세종(5.50%), 인천(5.07%), 경기(4.76%), 서울(2.11%), 부산(1.97%), 충남(1.29%), 울산(1.07%) 등이 그 뒤를 이었다.
대전은 투자 수요 유입으로 아파트값 상승세가 이어지면서 최근 정부의 6·17대책에서 조정대상지역(대전 전체)과 투기과열지구(동·중·서·유성구)로 지정됐다.
세종시는 계속된 인구 유입과 교통 인프라 개선 등의 영향으로 상승 폭이 컸다.
이 밖에 부산은 청약 시장의 호조세에 힘입어 오름세가 이어졌고, 충남은 이케아 입점이 예정된 계룡시와 비규제 지역으로 세종시 반사 이익을 본 천안과 아산이 가격 상승을 주도했다.
지역 경기가 차츰 호전되는 가운데 새 아파트 공급 부담이 줄어든 울산도 상승세가 이어졌다.
수도권은 7호선 연장과 광역급행철도(GTX) 등의 교통 개발 호재 발표에 저가 아파트를 중심으로 한 매수세가 이어졌다.
경기도는 '풍선효과'로 남부권 중심으로 가격이 많이 올랐는데, 그중에서도 일명 수용성(수원·용인·성남)이 가격 상승을 주도했다. 특히 수원은 올해 상반기 아파트값이 10.67% 올라 경기도에서 오름폭이 가장 컸다.
서울은 서울 외곽지역이 가격 상승을 이끌었다. 대출 규제로 강남권 아파트값 상승 폭이 크게 둔화한 가운데 9억원 이하 중저가 아파트에 매수세가 이어지면서 노원 (7.15%), 강북(6.57%), 성북(5.99%) 등 서울이 크게 올랐다.



아울러 올해 상반기 전국 아파트 전셋값은 1.60% 상승했다.
지역별로는 세종(4.89%), 대전(3.62%), 경기(2.13%), 서울(1.87%), 울산(1.31%), 인천(1.09%) 순으로 상승 폭이 컸다.
세종시는 인구 유입이 이어지는 가운데 신규 아파트 공급은 감소하면서 전국에서 가장 높은 전셋값 상승률을 기록했다. 세종시 신규 아파트 입주는 지난 5년간 평균 1만3천여가구였으나 올해는 그 절반 이하인 5천600가구로 줄어든 영향이 크다.
대전은 재개발·재건축 등의 도시정비사업으로 이주 수요가 발생하면서 전셋값 상승을 키웠다.
울산은 신규 아파트 공급 감소로 매매·전세 가격 모두 상승했다. 울산은 지난해 1만2천627가구가 입주했지만, 올해는 70% 이상 줄어든 3천10가구가 공급된다.
비교적 안정세를 보이던 수도권 아파트 전셋값은 민간택지 분양가상한제를 앞두고 낮은 분양가를 기대하는 청약 대기 수요 증가와 저금리에 따른 월세 전환 등의 영향으로 전세 매물 부족 현상이 심화하고 있다.
국지적인 매물 부족이 이어지면서 서울, 경기, 인천 모두 지난해 하반기보다 전셋값 오름폭이 다소 커졌다.
반면 제주는 경기 침체와 주택 수요 감소, 매물 적체 등으로 광역 시도 가운데 유일하게 전셋값이 작년 하반기 대비 떨어졌다.



부동산114는 "상반기 전국 아파트 시장은 12·16대책과 코로나19 여파로 상승세가 한풀 꺾였다"면서도 "풍부한 유동성으로 수도권 외곽지역으로 풍선효과가 이어졌고, 지방에서는 대전·세종이 들썩이면서 안정세를 보이던 집값이 이달 들어 오름폭이 다시 커졌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하반기 부동산 시장은 최근 6·17 부동산 대책으로 규제지역으로 추가 지정된 수도권과 지방 일부 지역에서 단기적으로 과열 현상이 진정되고, 거래시장도 소강상태를 보일 것"이라고 전망했다.
redflag@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