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문가 "공급 과잉…농가 선제·자율적 수급 조절 필요"
![](http://img.yna.co.kr/photo/yna/YH/2020/06/09/PYH2020060912170001300_P2.jpg)
(서울=연합뉴스) 고은지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이 본격화된 3∼5월 한우 1등급 평균 도매가격은 지난해보다 15% 가까이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9일 서울 서초구 aT센터에서 열린 '한우 수급관리 강화를 위한 전문가 토론회'에서 중단기 한우 수급 및 가격 전망을 발표하며 이같이 밝혔다.
농경연에 따르면 3∼5월 한우 1등급 평균 도매가격은 1kg당 1만9천964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4.8% 올랐다.
농경연 농업관측본부 이형우 축산관측팀장은 "코로나19 발생과 긴급재난지원금 지급 등으로 가정 소비가 늘고 한우 소비가 확대했다"며 "현재도 가격이 고공행진을 하고 있으나 정점 대비로는 2천원가량 떨어졌다"고 설명했다.
산지 가격은 5월 수송아지(6∼7개월령) 평균 가격은 435만원, 암송아지는 348만원으로 각각 지난해 같은 달 대비 7.4%와 6.3% 상승했다.
이 팀장은 "8일 기준 수송아지 평균 가격은 470만원까지 올랐고 우시장에서 500만원대에 거래되고 있다는 이야기도 들린다"고 덧붙였다.
공급은 꾸준히 느는 추세다.
지난 3월 기준 한우 사육 마릿수는 지난해보다 3.4% 증가한 300만8천마리고 올해 말에는 317만마리를 넘어설 것으로 예상된다.
도축 마릿수는 1∼5월 30만8천마리로 지난해와 비슷했고 연간으로는 79만마리 안팎이 될 전망이다.
소고기 수입량은 2018년부터 큰 폭으로 증가해 지난해 역대 최고치인 42만7천t에 달했으나 올해는 해외 가공공장 셧다운(가동 중지) 등의 영향으로 1∼5월 2.8% 감소한 17만t에 머물렀다. 지난달의 경우 3만4천t으로 12.6% 줄었다.
농경연은 최근 반짝 상승한 한우 도매가격이 점차 하락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경기 침체가 가중될 경우 3분기에는 전분기보다, 4분기 이후 전년보다 가격이 내려가 한우 도매가격은 2020년 1만8천∼1만8천500원, 2021년 1만5천500∼1만6천원 선에 그치겠다고 분석했다.
경기 침체가 완화된다면 3분기는 보합세이다가 4분기부터 하락해 올해 1만9천∼1만9천500원, 내년 1만7천500∼1만8천원 선이 되겠다고 예측했다.
이 팀장은 "2022년까지 한우 사육이 늘고 사육 증가로 도축 마릿수 역시 증가세가 이어지면서 2021∼2022년 도매가격이 조정국면을 맞을 것"이라며 "농가가 선제·자율적으로 수급을 조절할 필요가 있다"고 조언했다.
![](http://img.yna.co.kr/photo/yna/YH/2020/06/09/PYH2020060912150001300_P2.jpg)
경상대 전상곤 식품자원경제학과 교수는 사육두수가 과도하게 증가하면서 산지 가격과 농가 경영의 불안정성이 커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한우 사육농가는 점차 규모화 전문화되는 모습을 보인다. 2005년에는 100두 이상 사육 농가가 16.8%에 불과했지만, 2015년에는 41.3%로 절반에 육박했다.
번식과 비육(고기를 생산하기 위해 가축을 기름)을 함께 하는 일괄사육 농가도 점점 늘면서 송아지 거래는 주는 추세다. 2014∼2017년 암송아지 거래 비율은 35.1%에서 28.6%, 송아지 거래 비율은 44.5%에서 38.5%로 낮아졌다.
일괄사육 농가는 송아지를 팔지 않고 자체 생산하기 때문에 거래량이 감소하고 이에 따라 송아지 가격이 강세를 보이면서 농가의 경영 불안정성이 커지는 상황을 가져왔다.
전 교수는 "사육두수가 급격히 증가하지 않는다면 현재의 호황이 장기간 유지되겠지만, 가격이 내려갔는데도 농가가 민감하게 반응하지 않아 자칫 과잉 기조가 나타난다면 매우 어려운 상황에 부닥칠 수 있다"고 우려했다.
업계 역시 수급 조절의 필요성에 공감했다.
한우협회는 "코로나19로 인해 변화하는 유통 상황에서 한우 사육두수와 공급량 증가로 한우 가격이 폭락할 우려가 커지고 있다"며 "선제적 수급 조절이 절실한 상황"이라고 밝혔다.
협회는 현 상황에서 가장 효과적인 수급조절 방안으로 송아지를 낳은 경험이 없는 미경산우 비육을 제시했다. 미경산우를 기르면 송아지 생산량을 줄일 수 있어 3년간 2.5두, 5년간 4.7두를 감축하는 효과가 나타날 것으로 추산했다.
협회는 "한우 농가가 개량과 수급조절에 참여하는 공감대를 조성하고 새로운 시장을 개척할 유인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eu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