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자 수로는 의료체계 감당 여부 판단 어려워…중증도 등 고려"
"환자 수만 갖고, 의료체계 감당 가능 여부 말할 수 없어"
(서울=연합뉴스) 김잔디 기자 = 정부가 생활방역 체계 전환에 대한 논의를 이어가는 가운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진자 수만 가지고는 결정하기 어렵다는 신중한 입장을 내비쳤다.
환자별 중증도가 다르고, 지역별 불균형 등이 있으므로 단순히 치료 중인 환자 수만으로는 우리 의료체계가 감당할 수 있는 수준으로 내려왔다고 판단하기 어렵다는 이유에서다.
김강립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1총괄조정관은 18일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격리 치료 중인 환자가 계속 줄어들고 있지만 여러 지표 중 환자 수만 보고 우리 의료체계가 견딜 수 있느냐를 일괄적으로 말하기는 쉽지 않다"고 말했다.
이날 0시 기준 격리 치료 중인 확진자는 2천484명으로 2천500명을 밑돌고 있다. 대구에서 치료 중인 환자 역시 1천명 미만으로 줄어들었다.
애초 정부는 코로나19 하루 신규 확진자 수 50명 미만, 감염경로 미확인 확진자 비율 5% 미만으로 떨어지면 일상·경제생활과 방역이 조화를 이루는 '생활방역'으로 전환될 수 있을 것으로 봤다. 이 정도의 감염 규모라면 현행 의료체계가 일상적으로 감당할 수 있는 수준이라고 판단했었다.
단, 단순히 전체 환자 수만 가지고 의료체계의 감당 여부를 말할 수는 없다고 했다.
환자의 중증도, 지역별 불균형, 단시간 내 얼마나 많은 환자가 발생하지는 않는지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김 총괄조정관은 "최중증의 환자를 치료하기 위해서는 훨씬 많은 의료자원이 필요하다"며 "얼마나 많은 중증 환자가 있느냐를 살펴봐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지역별 불균형이 발생할 경우 지역에서 감당할 수 있을지, 단시간 내 많은 환자가 발생하지는 않는지 등의 요소를 고려해야 한다"며 "기계적으로 전체 환자 수 하나만 놓고 가능 여부를 말씀드리는 건 경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 정부는 지역별 환자 발생 불균형, 환자 증가 등에 대비해 수도권 병상을 통합해 사용하는 등의 방안을 고민 중이다.
김 총괄조정관은 "수도권 3개 광역 지자체와 협의 중"이라며 "각각의 지자체가 가지고 있는 역량이나 자원들을 어떻게 효과적으로 배분하고 연계해 공동의 대응 역량을 극대화할 수 있을지를 고민하고 있다"고 말했다.
jandi@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