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불안한 수도권 불씨…"병원 집단감염 위험"(종합)
하루 30∼40명 신규확진…의정부성모·서울아산병원 등 잇단 감염
"요양병원 집단감염 땐 사망자 다수 발생 우려…표본 진단검사 시행해야"
(서울=연합뉴스) 신선미 강애란 기자 = 수도권의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 19) 확진자 발생이 심상치 않은 분위기다.
수도권 코로나19 누적 확진자 수는 1천200명을 넘었고 의정부성모병원을 비롯해 서울아산병원, 인천의료원 등 의료기관에서 환자가 계속 나오고 있다.
여기에 더해 수도권 요양병원에서 집단감염이 발생한다면 사망자가 다수 발생할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이 때문에 의료기관 감염을 차단하고 감염 발생 시 감염자를 빨리 찾기 위한 대책이 필요하다는 목소리가 나온다.
6일 방역당국과 의료계에 따르면 수도권 신규 확진자는 연일 30∼40명 수준에서 발생하고 있다. 이 가운데 상당수는 의료기관에서 나왔다.
전날 0시 기준으로 확인된 수도권 신규환자 36명 가운데 의료기관 관련 확진자는 7명(서울아산병원 1명·인천의료원 1명·의정부성모병원 5명)이었다.
◇ 의료기관 감염 '불안'…"수도권 확진자 언제 폭발할지 몰라"
수도권에서 잇따라 발생하는 의료기관 감염은 대규모 유행으로 번질 수 있는 불씨다.
의료기관에서는 입원병실을 함께 사용한 다른 환자·보호자가 추가 감염될 수 있고, 감염자가 다른 의료기관을 옮겨 다니며 병을 퍼뜨릴 수 있어 '집단감염' 위험이 있기 때문이다.
실제 서울아산병원에서는 9세 확진자와 같은 병실을 썼던 환자의 보호자가 추가 확진됐다. 정확한 감염경로가 확인되지 않았지만, 9세 확진자는 입원 전 의정부성모병원을 방문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의정부성모병원의 확진자 1명은 확진 전 요양병원에 입원했었다.
감염자를 빨리 찾아내지 못하면 의료기관 내 감염뿐만 아니라 지역사회에 노출될 위험도 있다. 의정부성모병원 간병인은 확진 전 대중목욕탕을 이용했는데, 함께 목욕탕을 이용한 3명도 감염된 것으로 확인됐다.
전문가들은 이런 의료기관 감염 등 현재 수도권에서 산발적으로 발생하는 감염 사례들이 어느 순간 폭발적으로 늘어날 수 있다고 경고한다.
정기석 한림대 호흡기내과 교수는 "수도권 확진자 발생 그래프가 계속 우상향하고 있는데 (하루 신규 확진자가) 100명쯤 되면 (그래프 증가 폭이) 폭발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지방자치단체와 방역당국의 분석도 이와 다르지 않다.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4일 페이스북에서 "피하기 어려운 감염폭발에 대해 마음의 준비와 실질적 대비를 할 때"라고 대책 마련을 강조했다.
정은경 중앙방역대책본부장은 6일 정례 브리핑에서 "의료기관을 통해 전염되는 지역사회 감염에 대한 차단을 충실히 하지 않으면 유행이 커질 가능성과 우려가 있다"며 "수도권에 대해서는 감염경로나 발생규모를 예의주시하고 있다"고 말했다.
수도권에서 대규모 유행이 발생하면 의료진 파견과 병상 확보 등 자원 조달이 어려울 수 있다.
방역당국에 따르면 5일 기준으로 수도권 감염병전담병원 병상은 총 1천771개이며 이중 1천16개가 남아 있다. 중증치료 병상은 수도권 내 국가지정 병상이 73개인데 9개가 비어있다. 국가지정 병상은 중증치료 병상을 추가로 41개까지 확보할 수는 있다. 경증환자를 위한 생활치료센터는 서울 태릉선수촌과 경기 한화생명연수원에 마련돼 있으며 각각 103명, 101명이 추가 입실할 수 있는 상태다.
◇ 요양병원, 사망률 위험요인…"표준검사 등 적극적 관리해야"
수도권에는 지병이 있고 고령인 고위험군이 입원 생활을 하는 요양병원, 요양원 등이 몰려있다.
국내 사망자의 상당수가 요양기관에서 나왔듯이 요양기관에서 집단감염이 발생하면 사망률이 크게 올라갈 수 있다. 요양기관 전수조사가 시행된 대구 지역에서는 확진 판정을 받은 고령자의 사망이 잇따르고 있다.
정부도 이런 심각성을 고려해 요양병원에 방역책임자를 지정해 유증상자 발생을 예의주시하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전국에 있는 모든 요양기관을 전수조사할 수 없다면 기관별로 몇몇 사람들을 무작위로 표본 검사하는 체계를 갖춰야 한다는 것이다. 환자 여러 명의 검체를 한꺼번에 검사하는 방법 등을 활용한다면 진단검사 효율을 높일 수 있다는 제안도 나온다.
기모란 국립암센터 교수(대한예방의학회 코로나19 대책위원장)는 "수도권에 요양병원들이 몰려있는데 지금도 누가 감염자인지 모르는 상황일 수 있다"며 "모든 요양병원 환자들을 모두 검사하면 좋지만 그럴 수 없다면 환자들을 샘플링해 주기적으로 검사하는 것도 방법"이라고 조언했다.
이어 "지금 의심환자를 일대일로 검사하는 것과 달리 10∼30여명의 검체를 한꺼번에 검사하는 방법으로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며 "요양병원 환자들은 증상이 있어도 이를 인지하기 어렵기 때문에 이런 검사체계가 없으면 오랜 시간 다른 사람에게 노출돼 집단감염으로 번질 수 있다"고 말했다.
다만 정부는 요양기관에 대한 선제적 검사를 검토하고 있지만, 지역사회에서 벌어지는 불명확한 감염경로를 확인하는 데 우선순위를 두고 있다는 입장이다.
권준욱 중앙방역대책본부 부본부장은 전날 브리핑에서 "선제적 검사는 검사물량이나 지자체의 협의 등이 필요해 현재로서는 지역사회의 연결고리가 불명확한 사례에 대한 역학조사 등을 더 우선해 진행하고 있다"며 "10여명을 한꺼번에 검사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정확성이나 민감도 등을 확인해야 해서 전문가들과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sun@yna.co.kr
aera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