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기부, 육성 품목 지정에 '국민 참여형 제도' 도입
(서울=연합뉴스) 윤지현 기자 = 국민이 필요하다고 느끼는 생활밀착형 기술이 제품화될 수 있도록 정부가 중소기업 연구개발(R&D) 기획 단계부터 국민 참여 기회를 확대한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생활에 필요한 다양한 신기술·제품개발 아이디어를 모으기 위해 이달 18일부터 다음 달 30일까지 '대국민 온라인 기술수요조사'를 한다고 17일 밝혔다.
실생활에 필요한 제품 아이디어나 사회문제 해결을 위한 개발기술에 관심 있는 국민은 누구나 자유롭게 참여할 수 있다.
이번 조사는 정부가 중소기업 집중 육성 품목을 지정하기 위해 새로 도입한 방법으로, 이전까진 전문기관인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을 통해 '기술로드맵'을 수립하고 전략적 육성이 필요한 기술과 품목을 지정해왔다.
![](http://img.yna.co.kr/etc/inner/KR/2020/03/17/AKR20200317072100030_01_i.jpg)
중기부는 이외에도 '재밍(Jamming·온라인 브레인스토밍)', '사업성 평가단' 제도 등을 신규 도입해 국민 참여를 늘릴 계획이다.
재밍은 일반인이 자유롭게 토론하며 해결책을 찾아가는 방법으로, 이를 통해 국민들의 다양한 의견을 기술로드맵 수립에 반영되도록 할 방침이다.
또 국민이 제안한 유망기술은 100여명으로 구성된 '집중육성 품목 사업성 평가단'을 통해 실용성과 시장성 등을 평가를 받게 된다.
사업성이 우수한 과제는 내년 중소기업 R&D 지원품목 후보로 추천되며, 기술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전문가 위원회에서 최종 선정된다.
yjh@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