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매가격 하락에 어업생산 총액은 3.1% 감소…8조3천387억원
(세종=연합뉴스) 김경윤 기자 = 지난해 어획 또는 양식을 통한 어업생산량이 역대 최다를 기록했다.
해조류와 양식어류, 원양어획 어류의 판매가격이 하락하면서 어업생산액은 작년보다 다소 줄었지만, 여전히 8조원을 웃돌았다.
![](http://img.yna.co.kr/photo/yna/YH/2018/05/23/PYH2018052317990005400_P2.jpg)
통계청이 21일 발표한 '2019년 어업생산동향조사 결과'에 따르면 지난해 국내 어업인이 포획·채취·양식으로 생산한 수산물 총량은 전년보다 1.6%(6만t) 증가한 383만t으로 집계됐다.
이는 1970년 정부지정통계로 집계를 시작한 이래 최다 기록이다.
어업별로는 해외 수역으로 나가 조업하는 원양어업 생산량이 7.2% 늘어난 50만8천t이었다.
해조류와 굴·홍합 등 패류 양식 작황이 양호한 모습을 보이면서 천해양식어업도 5.4% 증가한 237만2천t으로 나타났다. 천해양식어업 생산량은 통계 집계 이후 가장 많았다.
반면 연·근해에서 조업하는 일반해면어업은 잦은 태풍과 자율휴어기간 연장으로 인해 생산량이 9.6% 줄어든 91만5천t에 그쳤다. 강·호수 등 내수면 어업 생산량도 0.2% 감소한 3만5천t으로 나타났다.
![](http://img.yna.co.kr/photo/yna/YH/2019/11/14/PYH2019111407600006300_P2.jpg)
주요 품종 가운데서는 다시마류의 생산량이 66만2천557t으로 가장 많았다. 생산량은 전년보다 15.7% 증가해 통계작성 이후 가장 많았다.
김류 생산량도 7.0% 늘어난 60만6천873t이었고 미역류(49만4천947t), 굴(32만6천190t) 등의 생산량도 적잖았다.
전년에 생산량이 크게 늘었던 고등어의 경우 작년에는 오히려 생산량이 43.8% 줄어들며 12만1천373t으로 떨어졌다. 반면 전갱이류 생산량은 59.2% 증가해 4만3천53t으로 집계됐다.
이는 연·근해에서 조업하는 대형선망 어선이 고등어 대신 전갱이류 어획에 집중했기 때문이라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원양어업 품종 가운데서는 태평양 가다랑어 포획량이 28만6천450t으로, 전년보다 16.1% 늘었다. 이를 포함한 다랑어류 전체 생산량은 37만t에 달했다. 꽁치와 오징어류 생산량은 각각 64.7%, 43.1% 감소했다.
연근해어업 생산량 가운데서는 멸치(17만2천t·18.8%)가 가장 큰 비중을 차지했고, 내수면 어업 가운데서는 뱀장어(1만900t·31.0%) 생산 비중이 가장 컸다.
![](http://img.yna.co.kr/photo/yna/YH/2008/07/15/PYH2008071510110005100_P2.jpg)
어업생산량은 늘었지만, 양식어류와 원양어획한 다랑어류 판매가격이 내려가면서 총 생산금액은 감소했다.
지난해 어업생산금액은 8조3천387억원으로 집계됐다.
전년보다 3.1%(2천7698억원) 감소했지만 8조원을 웃도는 모습을 보였다.
천해양식어업 생산액이 3.5%(1천3억원) 줄어 2조7천805억원으로 집계됐다. 일반해면어업 생산액은 4.3% 줄어든 3조9천572억원이었다.
원양어업 생산액은 1조1천164억원, 내수면어업은 4천847억원으로 나타났다.
시도별로는 천해양식어업을 활발히 하는 전남의 어업생산량이 192만2천t으로 전국 생산량의 57.9%를 차지했다.
경남(17.3%), 부산(7.7%), 충남(4.9%), 경북(2.9%), 제주(2.6%) 순이었다.
heeva@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