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19 유사 사태 막으려면 야생동물 거래 근절해야"
NYT "야생동물·인간 접촉 급증하며 신종감염병 위험도 증가"
"야생동물 거래 금지, 환경호보 넘어 공중보건 문제"
(서울=연합뉴스) 하채림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발병·확산은 근본적으로 인간의 무분별한 야생 동·식물 파괴 행태에서 비롯됐다."
19일(미국동부 현지시간) 미국 일간 '뉴욕타임스(NYT)는 동·식물 보호론의 관점에서 본 코로나19 확산의 근본 원인과 유사 사태 방지대책을 소개했다.
현재까지 코로나19는 유전자 비교 분석 결과 멸종위기 동물인 천산갑에 있던 코로나바이러스로부터 변이된 형태로, 중국 우한의 동물 시장을 중심으로 퍼진 것으로 추정된다.
코로나바이러스는 다양한 조류와 포유동물을 감염시키는 바이러스다.
야생 동식물에 있던 코로나바이러스는 유전자 변이와 종간 접촉을 거쳐 가축이나 사람에게 전달돼 감염병을 일으킨다.
코로나19뿐만 아니라 2003년의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SARS·사스)과 2012년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처음 확인된 중동호흡기증후군(MERS·메르스)도 동일한 과정으로 확산한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이다.
이러한 코로나 감염증은 과거에도 발생했지만 인간의 행위로 그 위험이 매우 커졌다는 게 생물 보호론자들의 견해다.
대규모 야생동물 거래, 삼림 파괴와 축산업에 따른 생물다양성 감소로 야생동물이 가축 또는 인간과 접촉이 급증함에 따라 코로나바이러스가 사람에게 감염되는 형태로 변이할 확률이 그만큼 높아진 것이다.
기후변화도 바이러스 감염증 발병·확산을 부추기는 요인으로 꼽힌다.
옥스퍼드 브룩스대학의 야생동물 거래 연구자 빈센트 니즈먼에 따르면 야생동물 거래는 불법인 경우가 많아 정확한 거래 규모조차 파악하기 어려우며 매일 수백종이 수백만마리 규모로 거래되는 것으로 추정될 뿐이다.
작년 10월 과학 학술지 사이언스에 실린 연구 결과를 보면 거래 대상 야생동물은 약 5천600종에 이른다. 이는 전체 척추동물의 약 20%에 해당한다.
또 우한의 수산물 시장을 비롯해 야생동물 거래 장소에는 다양한 종이 비위생 환경에 밀집되며 바이러스 배양에 최적의 환경이 조성된다.
동물보호단체 야생동물보호협회의 크리스티안 월저 박사는 "사향고양이 머리 위로 똥을 싸는 거북이 우리 위로 새똥이 떨어지는 식"이라고 동물 시장의 모습을 묘사했다.
따라서 제2, 제3의 코로나19 사태를 막으려면 야생동물 거래를 근절해야 한다고 생물 보호론자들은 주문했다.
중국 당국도 이러한 발병 원인을 잘 알기에 코로나19 확산이 진정될 때까지 일시적으로 야생동물 거래를 금지한다고 발표했으나, 이 조처가 늦었고 미흡하다는 지적이 뒤따랐다.
특히 아시아권은 코로나19 사태 속에서도 안일한 인식을 보인다고 NYT는 지적했다.
영국의 비영리 단체 환경조사기구는 중국과 라오스의 온라인 판매자들이 코로나19에 효험이 있다고 선전하며 동물 약재를 거래하고 있다고 보고했다.
심지어 중국 정부도 코로나19 치료에 항바이러스제뿐만 아니라 코뿔소뿔(犀角·서각) 또는 물소뿔(水牛角·수우각)이 함유된 '전통' 치료제를 병용하라고 권고했다고 NYT는 꼬집었다.
월저 박사는 야생동물 거래를 영구적으로 금지해야 한다고 중국에 촉구하면서 "그렇게 하지 않으면 같은 얘기를 주기적으로 반복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국제동물복지기금의 아시아 지역 책임자 그레이스 게 가브리엘은 "이제 이 문제는 동식물 보호 문제를 넘어 공중보건 문제"라고 강조했다.
tree@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