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97.82

  • 13.76
  • 0.49%
코스닥

840.44

  • 1.79
  • 0.21%
1/3

"소뇌의 강한 뇌파가 수전증 일으킨다"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소뇌의 강한 뇌파가 수전증 일으킨다"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소뇌의 강한 뇌파가 수전증 일으킨다"
미 컬럼비아대 의대, 저널 '사이언스 중개 의학'에 논문





(서울=연합뉴스) 한기천 기자 = 흔히 수전증이라고 하는 '본태 떨림(essential tremor)'은 손이나 고개가 자기도 모르게 떨리는 증상을 말한다.
가만히 있을 때보다 수저질, 글씨 쓰기 등에 손을 사용할 때 주로 나타나는데 다른 심각한 질환을 동반하지는 않지만, 생활에 큰 불편을 준다.
가족 구성원이 비슷한 떨림 증상을 보이는 경우가 많아 유전성이 의심되나 정확한 원인은 밝혀지지 않았다.
치료는 아드레날린 차단제, 신경안정제 등으로 증상을 완화하는 데 그치고, 근본적인 치료법은 아직 개발되지 않았다. 게다가 이런 약은 피로나 숨 가쁨( shortness of breath) 같은 부작용을 일으키기도 한다.
미국 컬럼비아대 의대 과학자들이 뇌 기저부(base of the brain) 소뇌의 뇌파가 너무 강해져 본태 떨림을 유발한다는 걸 밝혀냈다.
관련 논문은 15일(현지시간) 저널 '사이언스 중개 의학'(Science Translational Medicine)에 실렸다.
온라인(www.eurekalert.org)에 공개된 논문 개요에 따르면 본태 떨림은 현재 미국에서 가장 흔한 운동장애로 약 1천만 명이 이 증상을 가졌다고 한다. 이는 파킨슨병 환자 수의 8배에 달하는 것이다.
논문의 수석저자인 쿼 성-한(Sheng-Han Kuo) 신경학 조교수는 "본태 떨림 환자의 소뇌 구조에 변화가 생긴다는 게 이전의 연구에서 확인됐으나 어떻게 떨림이 생기는지는 그동안 알지 못했다"라면서 "이번 연구는 소뇌 구조의 변화가 어떻게 뇌 활동에 영향을 줘 떨림을 유발하는지 규명한 것"이라고 말했다.
쿼 교수팀은 소뇌의 뇌수 엑스레이(EEG) 기술로 비정상적인 뇌파를 찾아냈다.
본태 떨림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소뇌 EEG 영상을 분석했더니, 대부분 4~12㎐의 강한 진동을 보였고, 뇌파가 강할수록 떨림도 심했다.
같은 수의 대조군 환자에게선 이런 강도의 뇌파가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연구팀은 앞서 생쥐 실험에서 특정 부위의 뉴런(신경세포)을 자극해 뇌파를 조절하면 떨리는 증상도 통제할 수 있다는 걸 확인했다.
쿼 교수는 "직접 인간한테 확인할 수 없지만, 뇌의 진동과 떨림 증상 사이의 인과관계가 입증된 셈"이라고 지적했다.
cheon@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