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416.86

  • 2.00
  • 0.08%
코스닥

685.42

  • 3.86
  • 0.57%
1/2

이직문턱 높아졌다…한은 "금융위기 후 산업간 노동경직도 상승"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이직문턱 높아졌다…한은 "금융위기 후 산업간 노동경직도 상승"
한은 조사통계월보, '인적자본 배치 비효율로 성장률 낮춰' 분석


(서울=연합뉴스) 정수연 기자 = 금융위기 이후 생산성이 낮은 서비스업종에서 금융·정보기술(IT) 등 상대적으로 생산성이 높은 업종으로의 이직이 어려워졌다는 분석 결과가 나왔다.
한국은행 박창현 과장·이상아 조사역은 30일 조사통계월보 12월호에 실린 '산업간 노동이동 경직성의 거시경제적 영향' 보고서에서 이런 분석 결과를 내놨다.
연구팀은 "2011∼2018년 기타 서비스업(금융·보험·IT 제외 모든 서비스업)에서 제조업·금융·IT서비스업으로의 산업간 노동 대체 탄력성이 이전 시기(2002∼2010년)의 40% 수준으로 줄었다"고 밝혔다.
유통회사에서 제조업·금융·보험·IT서비스업으로 이직이 힘들어졌다는 것으로, 산업간 노동 경직도가 올랐다는 뜻이다.
박 과장은 "생산성이 높은 업종에서 기술혁신이 빠르게 일어나면서 이 업종으로 이직하는 데 더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해졌고, 대졸자가 늘어 구직경쟁이 치열해진 점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또 "맞벌이 가구가 증가해 한 배우자가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기 어려워진 점도 배경이 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아울러 생산성이 높은 업종에서 노동 수요가 둔화한 점도 배경으로 꼽았다.
지난해 금융·보험업 채용자 수가 2010년과 비교해 47.6% 감소했고, 같은 기간 IT서비스업은 14.1%, 제조업은 7.7% 줄어들었다,
저자들은 산업간 노동이동이 어려워지며 성장세도 낮아진 것으로 평가했다.
2011∼2018년 국내총생산(GDP)이 2002∼2010년보다 34.9% 증가했는데, 노동시장 경직성이 높아지지 않았다면 증가율이 37.8%로 2.9%포인트 오를 수 있었다고 저자들은 추산했다.
이직 문턱이 높아지며 인적 자본이 효율적으로 배치되지 못한 결과다.
박 과장은 "금융위기 이후 산업간 노동의 대체성이 과거의 40% 수준으로 낮아졌다"며 "구인·구직자 간 미스매치를 완화하는 등 정책적인 지원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jsy@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