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722.67

  • 33.17
  • 1.23%
코스닥

866.18

  • 15.43
  • 1.81%
1/2

"인공지능, 신약 개발 생태계서 이론 넘어 제 역할 증명"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뉴스 듣기-

지금 보시는 뉴스를 읽어드립니다.

이동 통신망을 이용하여 음성을 재생하면 별도의 데이터 통화료가 부과될 수 있습니다.

"인공지능, 신약 개발 생태계서 이론 넘어 제 역할 증명"

주요 기사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인공지능, 신약 개발 생태계서 이론 넘어 제 역할 증명"
AI 파마 코리아 콘퍼런스…"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 확보 병행돼야"


(서울=연합뉴스) 김잔디 기자 = 인공지능(AI)이 신약 개발의 혁신을 이끌며 실제 제약·바이오 생태계 안에서 제 역할을 증명하고 있다는 전문가 의견이 나왔다. 다만 AI가 신약 개발에 보다 더 제대로 활용되기 위해서는 우수한 데이터를 확보해야 한다는 의견도 함께 제시됐다.
한국제약바이오협회 인공지능신약개발센터가 7일 서울 강남구 르 메르디앙 호텔에서 개최한 'AI 파마 코리아 콘퍼런스 2019'에서 국내외 관련 전문가들은 신약 개발에 AI가 활용되는 현주소를 짚으며 이같이 조언했다.
AI 기술을 활용한 신약개발 바이오기업 스탠다임의 송상옥 박사는 "이미 시장을 이끄는 제약사들이 AI를 임상에 활용해 새로운 약물을 설계하고 합성하고 있다"며 "실제 제약·바이오 생태계 안에서 AI가 할 수 있는 역할이 증명되는 상황"이라고 평했다.
그러면서 "서서히 (AI를 활용한 신약 개발) 결과가 나오기 시작할 것"이라며 "올해보다는 내년, 내년보다는 내후년이 더 기대되는 분야"라고 덧붙였다.
다만 AI가 신약 개발에 활용되기 위해서는 신뢰할 수 있는 데이터를 확보하는 게 무엇보다 중요하다도 제시됐다.
AI를 설계하고 운영하는 알고리즘은 충분히 개발되고 성숙했으나 정작 이용할 수 있는 데이터는 아직도 부족하다는 것이다.
김재영 인공지능신약개발지원센터 책임연구원은 "AI 신약개발에 활용할 수 있는 데이터 자체가 부족한 게 현실"이라며 "해외에서는 각각 제약사의 기밀은 유지하면서도 더 많은 데이터를 활용하기 위한 논의에 나서기 시작했으나 국내는 뒤처져 있다"고 했다.
몰레큘 프로토콜의 폴 콜하스 대표는 이런 문제 해결을 위해 데이터를 공유하는 디지털 인프라를 구축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콜하스 대표는 "현재 약물 개발 모델은 협업에 대한 인센티브가 거의 없이 폐쇄적"이라며 "일부 인센티브를 제공해서라도 지식재산권을 개방하고 공유하도록 해 추가적인 혁신과 개발을 가속할 수 있는 방안을 고려해야 한다"고 했다.
jandi@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