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산 두 달째 감소…경기지표 3개월만에 동반하락(종합2보)
6월 생산 0.7%↓ 소비 1.6%↓ 투자 0.4%↑…제조업 생산은 0.2%↑
2분기 생산 0.5%↑ 소비 1.0%↑ 투자 1.1%↑ '트리플 증가'
(세종=연합뉴스) 김연정 이대희 김경윤 기자 = 생산이 두 달 연속 줄고, 소비도 감소로 전환했다. 크게 줄었던 투자는 한 달 만에 반등했다.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한 달 만에 하락 전환하면서 경기 동행·선행지표가 3개월 만에 동반 하락했다.
2분기 기준으로는 생산과 소비, 투자가 모두 증가하는 '트리플 증가'가 나타났다.
통계청이 31일 발표한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6월 전(全)산업생산지수(농림어업 제외, 계절조정계열)는 전월보다 0.7% 내렸다.
전산업생산은 전월 대비로 지난 4월 0.9% 증가했다가 5월 0.3% 감소로 전환한 데 이어 두 달째 줄었다.
분야별로 보면 광공업 생산은 자동차 등에서 감소했지만, D램을 비롯한 반도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등 디스플레이 패널이 호조를 보인 전자부품 등이 늘면서 전월보다 0.2% 증가했다.
제조업 생산은 0.2% 증가했다. 자동차, 화학제품 등에서 감소했지만 반도체, 전자부품 등이 늘었다.
제조업 출하는 전기장비, 기계장비 등에서 감소했지만 반도체, 석유정제 등이 늘어 전월보다 1.4% 증가했다.
제조업 재고는 통신·방송장비, 자동차 등에서 증가했으나 전자부품, 석유정제 등이 줄어 전월보다 0.9% 감소했다.
재고를 출하로 나눈 재고율은 115.3%로 전월보다 2.8%포인트 하락했다. 석유정제 분야 재고가 줄었고, 반도체가 생산에 비해 출하가 더 많이 늘어난 영향으로 분석된다.
통계청은 "최근 반도체 수출 금액이 줄고 (업황이) 안 좋다고 하는 것은 가격 하락 때문으로, 통계청이 산출하는 물량지수를 기준으로 보면 하반기 휴대전화 출시 등에 대비해 반도체의 생산과 출하 등이 꾸준히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제조업 생산능력지수는 101.3으로 전월보다 0.1% 감소했다. 이 지수는 지난 4월에도 101.3을 기록한 바 있으며, 2016년 4월(101.1) 이후 가장 낮은 수준이다.
제조업 평균가동률은 71.9%로 전월과 같았다.
서비스업 생산은 교육 등에서 증가했지만, 정보통신, 도소매 등이 줄어 전월보다 1.0% 감소했다.
소비를 보여주는 소매판매액은 전월보다 1.6% 줄었다. 4월 1.2% 감소했다가 5월 0.9% 증가한 뒤 6월에 다시 줄어든 것이다.
소매판매는 승용차 등 내구재(-3.9%)가 크게 줄었고, 의복 등 준내구재(-2.0%), 음식료품 등 비내구재(-0.3%)도 모두 줄었다.
승용차는 하반기 출시 예정 수요 대기로 판매가 줄었으며, 의복은 전월 여름용 의류 등 수요 증가의 기저 효과가 나타났다고 통계청은 설명했다.
6월 설비투자는 0.4% 증가했다. 4월 4.4% 증가한 뒤 5월 7.1% 감소로 전환했다가 반등에 성공했다. 다만 1년 전과 비교하면 9.3% 감소했다.
건설업체가 실제로 시공한 실적을 금액으로 보여주는 건설기성은 건축은 증가했지만 토목에서 줄어 전월보다 0.4% 감소했다.
현재 경기 상황을 보여주는 지표인 동행지수 순환변동치는 전월보다 0.1포인트 하락했다. 5월에 14개월 만에 상승으로 전환했지만 6월에 다시 떨어졌다.
앞으로의 경기를 예측하는 지표인 선행지수 순환변동치도 전월보다 0.2포인트 떨어졌다.
이에 따라 두 경기 지표는 지난 3월 이후 3개월 만에 다시 동반 하락으로 전환했다.
김보경 통계청 산업동향과장은 "최근 좋지 않은 모습을 보이는 설비투자가 증가한 것은 5월 크게 감소한 기저 효과로, 기계류와 선박 등 운송장비가 늘어나기는 했지만 전년 동월 대비로는 아직 마이너스"라며 "동행지수 순환변동치 하락은 전산업생산이 5월과 6월 연속 감소한 영향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김 과장은 이달 초 시작된 일본의 수출 규제와 관련해서는 "(한국 경제는) 제조업이나 수출 비중이 높아 무역 악재이기 때문에 좋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며 "아직 산업활동동향에는 반영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통계청은 이날 2분기 산업활동동향도 함께 발표했다. 전분기 대비 증감을 보면 전산업생산은 0.5% 증가했다. 광공업생산이 1.2% 증가한 영향으로 풀이된다. 서비스업 생산은 보합이었다.
2분기 제조업 생산능력지수는 101.3을 기록해 1년 전 같은 분기보다 1.2% 감소했다. 이 지수는 1971년 관련 통계를 작성한 이후 처음으로 6분기 연속 감소를 기록했다.
2분기 소매판매액은 전분기보다 1.0%, 설비투자도 1.1% 각각 증가했다.
정부는 미·중 무역 협상을 둘러싼 불확실성, 글로벌 제조업 경기 등 세계 경제 성장세 둔화 등에 따른 대외여건 악화가 산업생산 지표에 악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했다.
정부 관계자는 "리스크 관리에 만전을 기하면서 추가경정예산안 국회 통과 및 신속한 집행 준비와 함께 하반기 경제정책방향에서 발표한 투자·수출·소비 활성화 등 경기 보강 과제를 속도감 있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통계청은 이날 설비투자지수의 기준연도를 현행 2010년에서 2015년으로 변경했다고 밝혔다. 우리 경제의 산업, 기술구조 변화를 반영해 설비투자 추계 대상 품목을 바꾸고, 투자율을 갱신, 설비투자지수의 현실반영도를 높여 새 지수를 산출했다.
기본 품목에 기타섬유제품과 선박수리를 추가하는 대신 이동전화기·컴퓨터 기억장치·전기회로 개폐 및 접속장치·끈 로프 및 어망 등은 제외했다. 금속절삭기계와 성형기계는 금속가공용기계로 통합했다.
이에 따라 2016년(전년비 증감률 -1.3%→1.9%), 2017년(14.1%→14.5%), 2018년(-3.7%→-3.5%)의 설비투자지수가 다시 산출됐다.
2vs2@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