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평균 9천명↓' 초라한 부산 고용 성적표…경남은 2만2천명↑
두 지자체 간 취업 매칭 등 공동대응 필요
(부산=연합뉴스) 이종민 기자 = 2015년 이후 부산지역 취업자 수는 연평균 9천명이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 부산본부가 25일 펴낸 '최근 부산·경남지역 고용변화 요인분석 및 시사점' 연구조사 자료를 보면 2015∼2018년 부산 취업자 수는 연평균 9천명이 줄었다.
반면 경남지역은 연평균 2만2천명 늘어났다.
2018년 기준 부산지역 고용률은 55.7%, 경남은 61.4%로 경남이 높았다.
부산 고용률은 전국 평균(60.7%)에 비해 5.0% 포인트나 뒤떨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실업률 또한 부산 4.1%, 경남 3.0%로 부산의 고용상태가 더 악화상태를 보였다.
산업별 고용상태를 보면 부산·경남 모두 공통적으로 제조업이 감소하고 사업·개인·공공서비스업 등은 크게 늘었다.
연령별로는 두 지역 공통적으로 30대, 40대 고용이 감소하고, 60대 이상 고용이 증가했다.
부산의 경우 2015∼2018년 사이 30∼40대 고용은 13만6천명이 줄었고, 경남 또한 14만4천명이 감소했다.
반면 60대는 부산이 17만4천명, 경남이 20만5천명 각각 늘어났다.
이는 젊은 층의 수도권 유출과 취업난, 고령층(60대 이상)에 대한 정부 고용 정책(36시간 미만 단기 일자리) 등의 영향으로 분석됐다.
50대 고용에서는 두 지역 간 극명한 차이를 보였다.
부산은 이 기간 50대 취업자 수가 11만9천명 줄어든 반면 경남은 14만5천명 늘어났다.
이같은 현상은 경남의 50대 실업자는 소도매, 식당 등 자영업으로 진출할 여력이 있지만, 부산은 자영업이 포화상태에 놓여 있기 때문으로 봤다.
특히 부산지역 50대는 도소매·숙박음식업 업황 부진으로 취업 가능성이 낮아 실망노동자화(취업 가능성이 낮아지면 경제활동 포기가 증가하는 현상) 가능성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부산과 경남 두 지역 제조업 실직 임금근로자는 대형조선사 구조조정과 조선업 부진으로 지역 내 재취업(노동이동)에 상당한 제약이 뒤따른다고 분석했다.
제조업 실직 근로자들이 지역을 떠나 서울·경기 사업시설 관리업이나 도소매업 등으로 재취업하면 경력 단절 등으로 지역 잠재 노동력 손실이 우려된다고 지적했다.
연구보고서는 두 지자체 간 정보교류를 확대해 일자리 매칭에 힘쓰고 재교육을 강화해 실직자들이 권역 내 유사 업종에서 재취업할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지적했다.
청년층 인구의 수도권 집중을 완화하려면 지식 기반 서비스산업 등 청년층 선호 일자리 육성 또한 시급하다고 제언했다.
ljm703@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