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원도, 동해안 산불피해지 등 영농지원 나서
(춘천=연합뉴스) 이상학 기자 = 강원지역이 강수량이 평년보다 적고 일부 지역에 가뭄 현상이 빚어지고 있지만, 영농은 순조롭게 진행되고 있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cms/2018/05/30/15/C0A8CA3D00000163AFA2B3650010B8CC_P2.jpeg)
26일 강원도에 따르면 현재 도내 계획된 모내기의 경우 최대 곡창지역인 철원이 98%가 마무리되는 등 도내 2만9천700ha 가운데 90% 이상을 마친 것으로 집계됐다.
강원도의 주력품목이자 전국 생산량이 30%에 달하는 감자(5천838㏊)와 옥수수(7천451ha)는 파종을 마쳤다.
두류 및 기타 잡곡(7천729ha)은 이달 하순까지 끝낼 예정이다.
전국 생산량의 90%를 생산하는 고랭지 채소류(토마토, 파프리카 등)는 생육이 양호한 상태라고 강원도는 밝혔다.
하지만, 사과와 복숭아 등 과수(2천956ha), 인삼(2천600ha), 특용작물(4천213ha)은 지난 7일 일부 산간에 저온피해로 경과를 지켜봐야 한다는 입장이다.
특히 지난달 발생한 동해안 산불지역 영농의 경우 모내기는 90%, 밭작물은 파종과 정식을 마친 것으로 파악했다.
강원도는 산불지역 긴급영농을 위해 트랙터 등 151대를 지원하고, 일손과 종자 등을 지원한다.
또 112억원(보조 70%, 융자·자부담 30%)를 투자해 조기 복구를 돕기로 했다.
강원도는 모내기가 늦는 일부 지역은 하천수와 관정 등 대체용수를 공급하는 등 지원할 계획이다.
아울러 가뭄피해 최소화를 위해 농업기반시설 137억을 투입, 대응에 나선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cms/2018/08/17/66/PCM20180817000066990_P2.jpg)
일부 가뭄 취약지역의 경우 피해가 예상되는 데다 다음 달까지 강수량이 평년보다 적을 것으로 전망되기 때문이다.
현재 도내 저수지 312곳에 저수율 100%를 통해 가뭄에 대비하는 한편 비가 내리지 않아 가뭄이 지속하는 지역은 예비비 지원을 검토할 방침이다.
강원도 관계자는 "가뭄극복 예산확보와 함께 가뭄발생 시 중앙부처에 국비지원을 건의할 계획"이라며 "물 절약에 동참해주고, 농업용수 절약으로 안정적인 공급이 되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ha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