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피

2,520.36

  • 13.98
  • 0.55%
코스닥

693.15

  • 3.68
  • 0.53%
1/3

[충남서부 잇단 사고] ② 4년간 총 23건…'대형 사고' 가능성 상존

페이스북 노출 0

핀(구독)!


글자 크기 설정

번역-

G언어 선택

  • 한국어
  • 영어
  • 일본어
  • 중국어(간체)
  • 중국어(번체)
  • 베트남어
[충남서부 잇단 사고] ② 4년간 총 23건…'대형 사고' 가능성 상존
해당 자치단체 시장도 "사고 사실 시민 SNS로 알아"
지난해 산업현장 사고로 62명 사망…부상자도 4천200명

(대전=연합뉴스) 이은파 한종구 양영석 기자 = 충남 서부지역 안전이 위협받고 있다.
대형 사업장에서 각종 사고가 잇따르면서 주민들은 불안에 떨고 있다.
23일 충남도 등에 따르면 2015∼2018년 충남에서는 모두 23건의 화학물질 유출 사고가 발생했다.

특히 전국 3대 석유화학단지로 꼽히는 서산 대산공단에서는 잊을만하면 사고가 터진다.


지난 17일 대산공단 내 한화토탈 공장에서 스틸렌모노머(SM) 등이 함유된 유증기가 최소 110t 유출됐다.
현장 근로자와 마을 주민 수백 명이 구토 증세와 어지럼증을 호소하며 병원을 찾았다.
22일에도 기능성 화학제품 제조기업인 KPX그린케미칼에서 암모니아 10g가량이 유출됐다.
다행히 사고 현장 공기 중 암모니아 농도가 작업장 허용기준 상한(25ppm)에 못 미치는 21ppm으로 확인됐고, 인명피해도 발생하지 않았지만, 인근 주민들은 다시 한번 놀란 가슴을 쓸어내려야 했다.
앞서 지난해 1월에는 롯데케미칼 BTX 공장에서 벤젠 5∼6t이 누출돼 긴급 방제작업을 벌였다.
충남 서해안 석탄화력발전소에서 발생하는 미세먼지도 주민 고통을 가중한다.
자고 일어나면 집 창문틀과 차량 위에 내려앉은 검은색 가루가 골머리를 썩인다.
지난해 기준 당진, 태안, 보령, 서천 등 4개 시·군에서 전국 석탄화력발전소 61기 가운데 30기(49.2%)가 국내 전력생산의 25%를 책임지고 있지만, 정작 고통받는 주변 주민들이 정부 차원의 지원을 기대하기는 요원하다.
당진 현대제철은 2017년 기준 산업부문 미세먼지 배출 사업장 1위다.
환경운동연합은 지난 3월 28일 현대제철 본사가 있는 서울 서초구 현대기아차 사옥 서관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미세먼지 감축을 촉구했다.
환경운동연합은 "현대제철은 10기가 가동 중인 태안 석탄화력발전소보다도 많은 양의 미세먼지를 배출한다"며 "(현대제철이) 전력 소비량에서도 전국 1위 기업이라는 오명을 안고 있다"고 강조했다.
환경부가 지난해 발표한 대기오염물질 연간 배출량 조사 결과에 따르면 2017년 가장 많은 미세먼지를 배출한 사업장은 2만8천432t을 배출한 남동발전 삼천포본부이고, 현대제철 당진제철소는 2만1천849t으로 2위를 차지했다.
발전 부문을 제외한 산업부문에서는 현대제철이 가장 많은 배출량을 기록했다.
충남 철강산업의 중심인 현대제철에서는 산업재해 사고도 잇따르고 있다.
현대제철은 2013년 국내 사업장 가운데 산업재해 사망자가 가장 많은 곳으로 꼽히는 불명예를 기록했다.
당시 당진제철소 전로(轉爐) 보수공사를 하던 근로자 5명이 아르곤 가스에 질식해 숨진 영향이 컸다.
금속노조는 2007년부터 최근까지 현대제철 당진제철소에서 산업재해로 숨진 근로자는 모두 36명에 달한다고 밝혔다.
지역을 충남 전체로 넓히면 지난해 산업재해 사망자 수는 149명에 달한다.
이 가운데 질병을 제외한 산업현장에서 업무상 사고로 숨진 사람만 62명이다.
2017년에도 60명이 숨졌다.
지난해 사고로 다친 사람은 4천282명, 2017년보다 417명 늘었다.

사고는 당진과 서산, 아산, 천안 등 충남 서북부에 집중돼 있다.
올해 들어서도 당진 현대제철과 서천 한솔제지, 서산 현대오일뱅크 공장에서 각각 근로자 1명씩, 모두 3명이 숨지는 사고가 발생했다.
충남 서부지역은 석유화학단지와 철강특화단지, 석탄화력발전소 등이 밀집한 지역이다.
났다 하면 대형 사고로 번지는 위험이 상존하는 것이다.
지난해 충남도가 발표한 주요산업 통계치를 보면 2015∼2016년 도내 석유·정밀 화학업체는 235곳에서 249개 업체로 14곳이 늘어났다.
같은 기간 현대제철 당진제철소를 중심으로 한 철강, 금속제조·조립 업체 역시 588개에서 45개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문제는 잇단 사고에도 체계적인 대응 시스템이 더디다는 데 있다.
최근 한화토탈 유증기 유출과 지난해 롯데케미칼 벤젠 유출 사고에서도 주민들은 언론보도를 접하고서야 겨우 사고 사실을 알았다.
유증기 유출은 1시간가량이 지나서야 소방당국에 신고됐고, 서산시는 사고 소식을 주민에게 제대로 알리지 못했다.
오죽하면 맹정호 서산시장도 "시장인 저도 시민 소셜미디어(SNS)를 통해 사고 사실을 알았다"고 할 정도다.
아무것도 모르고 유증기를 들이마신 주민들이 분통을 터트리는 이유다.

롯데케미칼 벤젠 누출사고 1년이 지났지만, 화학사고 통보 시스템·주민 대피훈련 등 체계가 전혀 작동하지 않고 있다.
충남 서부 대형 사업장에서 안전사고가 빈발하자 고용노동부는 최근 서산에 출장소를 설치했다.
사고에 신속하게 대응하고 관리·감독을 철저히 하기 위해서다.
하지만 근로감독관 2명으로는 한계가 있다는 지적이다.
충남도 재난담당 관계자는 "현재 산업현장 관리·감독 권한이 모두 중앙정부에 집중돼 있어 지방자치단체는 접근하는 데 한계가 있다"며 "지자체가 정확한 사고 원인을 규명하고 재발 방지 대책을 세우는 데 같이 참여할 수 있도록 제도를 개선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염색되는 샴푸, 대나무수 화장품 뜬다

실시간 관련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