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방 소멸땐 서울도 위태" 서울시 상생계획 '공동운명체' 인식
서울청년 지방 취·창업, 베이비부머 귀농 지원 등 36개 사업 추진
(서울=연합뉴스) 김지헌 기자 = 서울시가 22일 내놓은 '지역상생 종합계획'과 '상생을 위한 서울선언문'은 지역이 위기에 처한 지금의 상황에서는 서울의 발전도 도모할 수 없다는 위기의식에서 비롯된 것으로 풀이된다.
박원순 서울시장은 상생협력 협약서에 서명한 뒤 "서울은 여러 기준으로 봐도 국제적으로 가장 중요한 도시 중 하나가 됐다"며 "이런 성장과 발전은 서울 혼자만의 힘으로 이룬 것이 아니다"라고 밝혔다.
박 시장은 "저 자신도 아주 시골에서 자라나서 농사꾼인 부모님의 헌신적 도움으로 서울로 유학 왔다. 아마 서울시민 대부분이 비슷한 경로를 겪었을 것"이라며 "그야말로 지방의 헌신과 희생으로 서울이라는 도시가 이런 위상을 가지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2050년 이내에 대부분의 지방이 소멸할 것이라는 끔찍한 예측이 나온다"며 "지방이 소멸하는데 서울이 혼자 계속 번영을 누릴 수 있겠는가. 절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산업화 시기 지방의 인재와 자원이 서울로 집중되면서 서울이 대도시, 국제적 도시로 발전해왔는데 지방은 인구 부족으로 도시 존멸의 위기에 처한 현 상황은 서울에도 절대 바람직하지 않다는 인식이다.
박 시장은 또 "서울도 청년층을 중심으로 일자리가 부족해서 'N포 세대'니 하는 얘기가 나온다"며 "서울과 지방 양쪽의 고민을 상생적으로, 사회 연대적으로 보면 해결방법이 나온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서울이 지방보다 일자리가 많기는 하나 청년층은 일자리가 없어서 고통받는 만큼 이들이 지방에서 새로운 기회를 찾을 수 있다고 보는 이런 관점은 상생종합계획의 인적 교류 사업에 반영됐다.
시는 당장 올해 서울 청년 100명을 선발해 지역 창업자원 조사, 아이디어 구체화, 사업 모델화를 위한 인큐베이팅까지 지원하고 사업비로 연 2천만∼5천만원을 주기로 했다.
200명가량에게는 지방 도시의 소셜 벤처, 사회적기업, 마을기업과 연계해 일자리를 지원한다. 인건비는 서울시와 해당 지방자치단체가 협력해 지원한다.
올해 서울의 만19∼39세 청년 300명을 지방으로 보내 창업이나 취업하게 한다는 것이다. 이 인원은 2022년이면 500명으로 늘어날 예정인데 성과에 따라서는 규모가 더 커질 수도 있다.
귀농과 귀촌 지원도 지금까지 해온 것보다 더 체계적으로 광범위하게 지원한다.
사전 교육, 단기 체험, 장기 체류 등 3단계 지원 정책이 제시됐다.
귀농·귀촌은 서울의 베이비부머 세대를 정책의 주요 대상으로 삼는다.
박 시장은 "서울에서 은퇴했거나 은퇴를 준비하는 50대∼60대 초반의 베이비부머 세대가 약 200만명"이라며 "이분들은 대체로 한강의 기적을 만들어낸 굉장히 유능한 세대"라고 말했다.
이 세대는 서울에 있으면 단순히 '노인' 취급을 받기 쉽지만, 고령화가 심각한 농촌으로 간다면 비교적 젊은 연령대에 풍부한 사회경험, 기술 습득력, 지금까지 쌓아온 자산 등을 활용해 농촌에 새로운 활력을 불어넣을 수 있다는 것이다.
박 시장은 "현재 농민들은 솔직히 말하면 연세가 너무 높으시고 관행에 익숙한 분들이라 아무리 투자를 하고 정책을 펴도 새로운 농업을 일으키기가 쉽지 않다"며 "이 인구(서울의 베이비부머 세대)가 이동하면 가능하다고 본다"고 강조했다.
박 시장은 "선진국 중 농업이 발전하지 않았고 농민 소득이 높지 않은 나라가 없다"며 "예전처럼 기름을 때고 비닐하우스 차리는 정도의 차원을 넘어서 새로운 과학과 예술을 반영하는 농업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제시했다.
서울시는 이날 2022년까지 2천403억원을 투자해 36개 사업을 시행하는 내용을 담은 지역상생 종합계획을 발표했다.
jk@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