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세계 미기록, 50㎝ 미만 초소형…"관상용 가치"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9/05/14/PYH2019051403660005600_P2.jpg)
(제주=연합뉴스) 고성식 기자 = 왕벚나무 원산지인 제주에서 같은 속(屬)의 희귀한 초소형 벚나무의 집단 자생지가 발견됐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는 국내 미기록 벚나무인 '프루너스 미니마'(Prunus minima·이하 미니벚나무) 집단 자생지를 발견했다고 14일 밝혔다.
[산림청 국립산림과학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제공]
미니벚나무는 다 자란 나무의 높이가 50㎝ 미만인 초소형의 벚나무다.
제주가 원산지인 왕벚나무와 같은 속에 있다. 식물분류법상 같은 속에 있으면 목(目)과 과(科)보다 가깝고 종(種)은 다른 비슷한 특징의 식물로 판단한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9/05/14/PYH2019051403710005600_P2.jpg)
미니벚나무는 꽃이 잎보다 먼저 피고 어린 가지에 털이 나는 점에서 키 작은 벚나무 일종인 이스라지(Prunus japonica), 산옥매((Prunus glandulosa)와 구별된다.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가 2013년 처음으로 미니벚나무 10여그루를 발견해 보고했다.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는 이번 발견 지역이 기존 자생지 인근 해안가 암석지대로 자생지 전체 면적이 0.6㏊이고 360여 개체가 자라는 것으로 확인했다.
자생지는 총 36개 지점으로 퍼져 10여 그루씩 소집단으로 모여서 미니벚나무가 자라고 있으며 주로 큰 나무가 없는 초지나 바위틈에서 자생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는 미니벚나무가 크기가 매우 작고 꽃이 잎보다 먼저 피어 관상용으로 활용 가치가 높을 것으로 판단했다.
![](http://img.yonhapnews.co.kr/photo/yna/YH/2019/05/14/PYH2019051403690005600_P2.jpg)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는 미니벚나무의 학술 가치와 자원화 연구를 위해 자생지 일대를 지속해서 조사하고 있다.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는 현재 미니벚나무를 국내외 학계에 공식 기록하지 않았으나 연구를 거쳐 1∼2년 내 관련 학술지에 논문을 올려 공식적인 종으로 기록할 계획이다.
현화자 난대·아열대산림연구소 박사는 "이번 대규모 자생지 발견을 통해 미니벚나무에 대한 추가 연구의 속도가 빨라질 것으로 보이며 보전과 자원화를 위해 증식기술 개발도 시작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koss@yna.co.kr
(끝)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